학술논문
‘일상경험담’과 ‘민담’의 구술성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金賢柱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4집, 113~14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범박하게 말해 문학의 역사는 말로 하던 문학 형태에서 글로 하던 문학 형태로 점차 변해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글로 하던 문학 형태가 등장한 이후에도 말로 하던 문학 형태 일부는 자신의 영역을 변질시키지 않고 나름의 구술 방식을 계속하여 유지해오기도 했지만, 삶의 양식이 변하고 문학의 소통 방식이 변하는 상황 속에서 거기에 대한 적응력 혹은 응전력을 갖추지 못한 대부분의 구술문학(口述文學)은 소멸되거나 기술문학(記述文學)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없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일상경험담’과 ‘민담’의 구술성 분석
1) 결속구조적 층위에서의 구술성
2) 어법적 층위에서의 구술성
3) 서사구조적 층위에서의 구술성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끼전> 作品群의 우화수용양상에 대한 고찰
- 무가의 서정적 표현과 기능
- 거인설화적 관점에서 본 산이동설화의 성격과 변이
- 전북지역 구비설화에 나타난 영웅인식
- <봉산탈춤> 속의 여성들 : 여성 등장 인물들의 대칭적 형상화에서 드러나는 남성 중심성
-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홍길동전> : 아기장수설화와 <홍길동전>(2)
- [巫黨來歷]의 性格과 意義
- 한국 구전서사시의 역사적 전개
- ‘일상경험담’과 ‘민담’의 구술성 연구
- 韓∙中說話에 나타난 ‘扁鵲’
- 경험담의 문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 농업노동요의 분류와 분포 : 남한지역 논농사 소리를 중심으로
- 借福說話의 구조와 복에 관한 인식
-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形成과 展開
- 東北아시아의 聖母 柳花 : 만주, 한반도에서의 유화신 숭배
- 龍蛇說話의 側面에서 본 <지네처녀> 說話
- 이성계 전설의 인물인식과 그 특징
- 여성생애담의 구술사례와 그 의미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