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Iron (Fe) on Arsenic (As) and Manganese (Mn) Removal from Mine Drainage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양수찬(Su-Chan Yang) 지원현(Won-Hyun Ji)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8권 5호, 501~5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소(As)와 망가니즈(Mn)로 오염된 광산 배수 처리에서 철(Fe) 농도가 낮을 경우 As 제거가 어렵고, Mn의 효과적인 제거에는 pH 9.5~10.0의 높은 조건이 요구되며, 복합 오염의 경우 정화 과정이 에너지 집약적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철 기반 물질(레드머드 및 철 함유 침전물)을 이용한 Fe 인공 공급이 처리 효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 광산배수(대덕광산)는 평균 pH 6.2로 중성에 가까웠으며, Fe, As, Mn의 평균 농도는 각각 8.0, 1.0, 8.3 mg/L로 나타났다. 실험은 Ca(OH)2를 이용해 pH를 조정하고, 철 기반 물질 보충 여부에 따른 As와 Mn의 제거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레드머드와 철 함유 침전물을 사용하여 Fe를 공급한 경우, 소석회만으로 pH 10까지 조정한 조건 대비 As의 제거 효율이 55% 증가하였으며, Mn 또한 pH 9.0 조건 대비 추가적으로 23% 제거되었다. 본 연구는 철 기반 물질을 활용한 Fe의 인위적 공급이 As 및 Mn 복합 오염 광산배수의 처리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In mine drainage contaminated with arsenic(As) and manganese(Mn), low iron(Fe) concentrations can make As removal difficult, and effective Mn removal requires a high pH range of 9.5 to 10.0. Additionally, remediation becomes more energy-intensive in cases of complex contamin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rtificially supplying Fe using iron-based materials (redmud and iron-containing precipitates) to enhanc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As- and Mn-contaminated mine drainage. The target mine drainage from the Dadeok mine showed a near-neutral pH (average 6.2), with Fe, As, and Mn concentrations averaging 8.0, 1.0, and 8.3 mg/L, respectively.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adjusting the pH using Ca(OH)₂ and evaluat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As and Mn according to Fe supplementation from iron-based materials. In the case of experiments using redmud and iron-containing precipitates to supply Fe in the mine drainage, As showed a 55% increase in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case of adjusting to pH 10 using slaked lime, and Mn was additionally removed by 23% compared to the case of adjusting to pH 9.0.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광 X-선 기법을 활용한 폐 금광산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및 비소 존재 형태 규명
- 원자에서 지구까지: 지구·환경과학에서의 방사광가속기 기법과 연구 사례 리뷰
-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Neoproterozoic Sandstones of the Northeastern Parts of the Voltaian Basin of Ghana: Implications for Industrial Usage
- 바나듐 지구미생물학의 연구 동향
- 카자흐스탄 아랄해 지역 염호의 리튬 광상 잠재성 예비 평가
- 심부 균열암반 시추공에서의 이중패커 기반 수리화학 조사: 국내외 사례 및 적용 제한 요인 분석
- 광산배수 내의 철(Fe)이 비소(As) 및 망가니즈(Mn) 처리에 미치는 영향 평가
- 대기의 CO₂ 직접 제거를 위한 암석 풍화 촉진 기술 소개: 탄소 제거 정량화와 인증 방안
-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공극 구조 내 공기-물 비혼성 대체 화상 기반 포화도 산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방사광 X-선 기법을 활용한 폐 금광산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및 비소 존재 형태 규명
- 원자에서 지구까지: 지구·환경과학에서의 방사광가속기 기법과 연구 사례 리뷰
-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Neoproterozoic Sandstones of the Northeastern Parts of the Voltaian Basin of Ghana: Implications for Industrial Usag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