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카자흐스탄 아랄해 지역 염호의 리튬 광상 잠재성 예비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Preliminary Assessment of Salt Lake Brines for Lithium Potential in the Aral Sea Region, Kazakhsta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오일환(Il-Hwan Oh) 박규승(Gyuseung Park) 박상준(Sang Joon Pak) 허철호(Chul-Ho Heo) 이범한(Bum Han Lee)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8권 5호, 491~50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아랄해 지역에 분포하는 염호에 대해 리튬 광상으로써의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아랄해 지역은 건조한 기후와 폐쇄형 내륙 분지로 염호형 리튬 광상 형성에 유리한 기초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광상 형성에 핵심 요소인 근원암과 이를 운반하는 유체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총 14개 염호에서 소금층 시료 250개와 물 시료(염수, 해수, 지하수, 강 및 호수) 50개를 분석한 결과, 소금층 시료에서의 리튬 함량은 대부분 검출한계(10 ppm) 이하거나 지각 평균치(20–70 ppm)에 미치지 못하였다. 물 시료의 평균 리튬 함량 역시 7~16 ppm 수준으로, 경제성을 갖춘 리튬 염수의 수준인 200 ppm 이상에는 크게 못 미쳤다. 염수는 Mg/Li 비율(>1,570)과 Na/Li 비율(>773)이 매우 높아 리튬 추출 공정에 불리한 화학적 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랄해 지역 염호가 리튬 광상으로서 잠재성이 낮은 것을 시사하지만, 일부 염호의 경우 하부 침전물(slimes)에서 비교적 높은 리튬 함량이 확인되어 국지적인 농축 메커니즘이나 리튬 기원에 대한 추가적인 지질·지화학적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잠재 자원량 평가를 위해서는 아랄해 남측(우즈베키스탄 지역)을 포함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salt lakes in the Aral Sea region of Kazakhstan as lithium brine deposits. The Aral Sea region possesse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brine-type lithium deposits, such as an arid climate and a closed basin. However, critical features required for deposit formation (source rocks, fluid pathways) have not been identified. A total of 250 salt samples and 50 water samples (including brine, seawater, groundwater, river, and lake water) were analyzed from 14 salt lakes. Lithium contents in most salt samples were below the detection limit (10 ppm) or did not exceed the average crustal contents (20–70 ppm). The average lithium contents in water samples also ranged between 7 and 16 ppm,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200 ppm generally considered economically viable for brine deposits. Furthermore, the brine exhibited unfavorable chemical compositions for lithium extraction, with high Mg/Li ratios (>1,570) and Na/Li ratios (>77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alt lakes in the Aral Sea region have limited economic potential as lithium resources. However, the relatively high lithium contents observed in some lakes slimes indicate that further geological and geochemical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local enrichment mechanisms and lithium sources. For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lithium potential, additional surveys including the southern part of the Aral Sea (in Uzbekistan) are considered necessary.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및 지질
3.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4. 결과 및 토의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일환(Il-Hwan Oh),박규승(Gyuseung Park),박상준(Sang Joon Pak),허철호(Chul-Ho Heo),이범한(Bum Han Lee). (2025).카자흐스탄 아랄해 지역 염호의 리튬 광상 잠재성 예비 평가. 자원환경지질, 58 (5), 491-500

MLA

오일환(Il-Hwan Oh),박규승(Gyuseung Park),박상준(Sang Joon Pak),허철호(Chul-Ho Heo),이범한(Bum Han Lee). "카자흐스탄 아랄해 지역 염호의 리튬 광상 잠재성 예비 평가." 자원환경지질, 58.5(2025): 491-5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