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 양상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Changes in the Gender Wage Gap Among a Youth Cohort Aged 25-34 in 2013: An Analysis of Korea, 2013-2023
발행기관
한국사회경제학회
저자명
김수현(Soohyun Kim) 이정아(Junga Yi)
간행물 정보
『사회경제평론』제78호, 87~135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2013년 기준 25세 이상 35세 미만인 청년 코호트의 10년간 성별 임금격차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최근까지 한국 노동시장에서 평균적인 성별 임금격차는 감소했다. 하지만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Fortin, Lemieux, and Firpo(2011) 등의 임금격차 분해 방법을 바탕으로 연도별 성별 임금격차를 분해해 비교함으로써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 양상을 고찰했다. 분석 결과, 변수값의 차이로 설명되는 구성 효과와 설명되지 않는 임금 구조 효과가 모두 증가했으며, 2013년부터 2019년까지는 구성 효과가, 2019년부터 2023년까지는 임금 구조 효과가 성별 임금격차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와 같은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에는 다른 요인도 있겠지만 여성의 경력단절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높은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 경험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gender wage gap over a ten-year period among a cohort of young workers aged 25–34 in 2013. While the average gender wage gap in the Korean labor market has narrowed in recent years, the gender wage gap within this youth cohort has widened. Using the decomposition methods developed by Fortin, Lemieux, and Firpo(2011), we decompose the gender wage gap across years to examine the patterns underlying its expan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both the composition effect and the wage structure effect increased over the period. The composition effect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widening the gender wage gap from 2013 to 2019, while the wage structure effect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from 2019 to 2023. Although multiple factors likely contribute to the widening gender wage gap in this youth cohort, our analysis suggests that women's career interruptions exerted a substantial influence. Reducing Korea's high gender wage gap will require efforts to prevent the widening of gender wage gaps in youth cohor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 방법 및 자료
Ⅳ. 25세 이상 35세 미만 청년층 연령 코호트 임금 근로자의 성별 임금격차 변화 양상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현(Soohyun Kim),이정아(Junga Yi). (2025).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 양상 분석. 사회경제평론, (), 87-135

MLA

김수현(Soohyun Kim),이정아(Junga Yi). "청년 코호트의 성별 임금격차 확대 양상 분석." 사회경제평론, (2025): 87-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