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PTED Guidelines and Case of Netherlands, Austria for Crime Safety in Residential Area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저자명
- 서민진(Min-Jin Seo) 오하늘(Ha-Neul Oh) 박승연(Seung-Yeon Park) 강석진(Seok-Ji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셉테드학회지』제16권 제2호, 131~16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에 대한 지역 사회의 부정적 인식 완화를 위해 사회적 기피시설의 갈등 및 해결 사례를 고찰하고, 보호관찰소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기관과 공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호관찰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범죄 발생 우려, 보호관찰 대상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재산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 등에서 기인하며, 특히 학교, 어린이집, 공동주택 등과 인접한 경우 반대 여론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보호관찰소 관계자 설문 결과, 지역 주민과의 갈등 요인으로는 ‘막연한 부정적 이미지’와 ‘범죄 발생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갈등 해결을 위한 공간 개선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되었으나, 예산 부족과 사례 미비로 실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CPTED 적용 매뉴얼에 대한 요구와 이를 통한 범죄 취약 환경개선의 필요성이 높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 내·외부 공간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호관찰소 CPTED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lleviate the negative perception of probation offices within local communities by analyzing both conflict and resolution cases related to such facilities.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probation office staff to examine institutional and spatial awarenes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perception of probation offices stems from concerns about crime, social prejudice against probationers, and fears of declining property values. These concern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when probation offices were located near schools, daycare centers, or multi-family housing, leading to concentrated opposition. Second,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sources of conflict with local residents were “vague negative images” and “fear of crime.” Although the necessity of spatial improvement was widely recognized, its feasibility was considered low due to budget constraints and a lack of precedents. Third, there was a high level of agreement on the need for a CPTED-based manual an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crime-prone environments through its appl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patial improvement strategies for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probation office buildings. These include practical design interventions aimed at fostering community-friendly environments. The proposed strategie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for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probation office fac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현황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BEST
- AI 학습데이터 무단 사용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방안
- 생성형 AI와 저작권 문제 - 저작권 침해와 저작물성의 사례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저작권의 패러다임은 바뀌어야 하나? - 저작권-인공지능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학 > 민법분야 NEW
- 한국셉테드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개방형 BIM 기반 범죄예방 건축기준 검토 자동화를 위한 IDS 작성 - 범죄예방 건축기준 제10조를 중심으로
- 회복적 경찰활동(회복적 대화)에 대한 인식 비교: 전문기관 진행자 vs 경찰관 진행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