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PTED Guidelines and Case of Netherlands, Austria for Crime Safety in Residential Area
- 발행기관
- 한국셉테드학회
- 저자명
- 임기택(Ki-taek Lim) 김도우(Do-w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셉테드학회지』제16권 제2호, 109~1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도시화는 오늘날 성숙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고, 기존의 도시구조를 좀 더 고도화하면서 수용자의 의견과 니즈를 세밀하게 만족시키는 생활권의 인프라가 촘촘하게 구축되는 공간구조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이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시민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좀 더 평등한 사회, 공간구조를 지향하는 도시계획의 상향식 방법론으로서 ‘생활권계획’이 등장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 분야의 생활권계획 수립에 있어서 중심지 강화를 위한 역세권(TOD)의 안전 계획에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CPTED기법의 적용 방법론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향후 행정과 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시계획이 급격한 도시화와 신도시의 성장형 모델에서 도시, 건축의 스케일적인 경계가 허물어지는 관리형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본 논문은 생활권계획의 수립시, CPTED 방식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전제하여 정책 방향성을 고찰하고 있다. 그 가운데 생활권계획에 있어서 각 생활권의 중심지의 경우 TOD의 안전 계획에 있어서 CPTED 적용방안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도시설계 방법론의 적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방향성 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Korea's urbanization has matured, the need to further upgrade existing urban structures and create a spatial structure with densely packed residential infrastructure that meticulously meets the needs and opinions of residents is emerging. The paradigm of urban planning is rapidly shifting. Amidst this, ‘Neighborhood Plan’ has emerged as a bottom-up urban planning methodology that actively reflects citizens’ needs and strives for a more equitable society and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ology of applying and refining CPTED techniques appropriate to the Korean context in safety plans for station-area development (TOD) areas to strengthen the center of a city’s living area planning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to suggest future administrative and policy development plans through this.
As urban planning shifts from a paradigm of rapid urbanization and new town growth to a management-oriented one where the scale boundaries between cities and architecture are collapsing, this paper posits that CPTED approach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formulation of community planning. Specifically, the need to carefully consider CPTED application methods in TOD safety planning for the center of each community area is being raised due to urban design characteristics. This paper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establishing such a dir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생활권계획의 특성과 도시 발전 방향성
Ⅲ. 생활권계획의 TOD계획의 특성과 발전 방향성
Ⅳ. 생활권계획의 TOD의 방재계획에서 CPTED의 적용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BEST
- AI 학습데이터 무단 사용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방안
- 생성형 AI와 저작권 문제 - 저작권 침해와 저작물성의 사례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저작권의 패러다임은 바뀌어야 하나? - 저작권-인공지능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학 > 민법분야 NEW
- 한국셉테드학회지 제16권 제2호 목차
- 개방형 BIM 기반 범죄예방 건축기준 검토 자동화를 위한 IDS 작성 - 범죄예방 건축기준 제10조를 중심으로
- 회복적 경찰활동(회복적 대화)에 대한 인식 비교: 전문기관 진행자 vs 경찰관 진행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