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mbiguous Cultural Politics of Ken Liu’s “The Paper Menagerie”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한광택(Kwangtaek Han)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65집, 81~11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켄 리우의 단편 소설 「종이 동물원」(“The Paper Menagerie”)에서 이민자 고통에 대한 깊은 공감을 생성하면서 그 공감을 미학화되고 매개된 형태 속에 구조적으로 포섭함으로써 정치적 교란을 제한하는 서사 전략의 특징을 분석한다. 프로이트의 포트-다(fort-da) 도식을 적용하여 작품의 서사가 현존과 부재 사이를 진동하는 양상이 2세 이민자의 문화유산에 대한 갈등적 관계를 어떻게 재현하는지 고찰한다. 또한 사물 이론을 적용하여 종이 동물들이 사적 영역에서는 소중한 디아스포라적 기억의 저장소로 기능하면서 인종화된 공적 영역에서는 평가절하되는 취약한 물질적 매개체로 작동하는 방식을 고찰한다. 이어서 상호 연결된 포스트메모리(postmemory)와 번역 개념을 통해 어머니의 영어 구사 불능, 아들의 중국어 문해력 결여와 관광객 번역자에 의존하는 언어적 비대응이 문화적 트라우마로부터의 안전한 거리를 만들어냄으로써 현재를 불안정하게 만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과거에 대한 회고적 공감을 가능케 하는 서사 구조의 의미를 조명한다. 정신분석적·물질적·언어적 관점을 통합함으로써 본고는 리우의 작품을 다문화주의, 동화, 기억의 정치학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논의하고 그의 작품의 문화정치학적 효과가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의 내적 모순을 해결하지 않으면서 가시화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ambiguous cultural politics of Ken Liu’s short story “The Paper Menagerie,” focusing on how the narrative generates empathy for immigrant suffering while containing it in aestheticized, mediated forms that limit political subversion. Drawing on Sigmund Freud’s fort-da paradigm, the essay demonstrates how the plot’s oscillation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maps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conflicted relationship to cultural inheritance. It also employs thing theory to explore how the origami animals function as fragile repositories of diasporic memory, simultaneously treasured in the private sphere and devalued in the racialized public sphere. The interlocking concepts of postmemory and translation are also mobilized to illuminate how linguistic incongruity—specifically the mother’s inability to speak English, the son’s inability to read Chinese, and the reliance on a tourist translator—produces a safe distance from cultural trauma, enabling retrospective empathy without destabilizing the present. By integrating these psychoanalytic, material, and linguistic perspectives, this essay reconsider Liu’s work in terms of multiculturalism, assimilation, and the politics of memory, claiming that its enduring effect of cultural politics lies in rendering visible the contradictions of diasporic identity without resolving them.

목차

I. Introduction
II. Trauma, Memory, and the Fort-Da Mechanism in Diasporic Context
III. Material Memory and the Politics of Mediation
IV. Translation and the Politics of Safe Distance
V. Conclusion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광택(Kwangtaek Han). (2025).Ambiguous Cultural Politics of Ken Liu’s “The Paper Menagerie”. 영미연구, (), 81-110

MLA

한광택(Kwangtaek Han). "Ambiguous Cultural Politics of Ken Liu’s “The Paper Menagerie”." 영미연구, (2025): 81-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