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ranslation Norms for Korean and English: Factors Affecting Translation Ambiguity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김지현(Ji Hyon Kim)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65집, 57~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영어 단어 쌍에 대한 번역 규범을 조사하고, 번역 중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32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들이 번역 규범화 과제에 참여하여 의미적 중의성이 있는 단어들과 중의성이 없는 단음절 한국어 명사에 대한 영어 번역어를 제시하였다. 번역 중의성은 데이터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원어민 화자들에 의해 단일 번역어가 있는 단어로 신중히 선별된 시료 중 3개의 단어에서도 관찰되었다. 중의성 조건에서는 19개 단어가 복수의 번역상으로 번역되었으며, 이 중 9개의 단어는 의미적 번역 중의성과 동의어 번역 중의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번역 중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구체성이 확인되었는데, 단일 번역어를 가진 단어들이 더 구체적이고 심상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 번역어와 추상적 번역어를 모두 포함한 중의적 단어의 경우, 구체적인 번역어가 더 자주 사용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영어 능숙도가 낮은 피험자들이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번역어로 답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번역 중의성이 이중언어 화자의 단어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에서의 시료 구상 및 실험 과정에 대한 함의를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ranslation norms obtained for Korean-English word pairs and examines factors that play a role in translation ambiguity. 32 Korean-English bilinguals participated in a translation norming task where they provided English translations for mono-syllabic Korean nouns that were semantically ambiguous or unambiguous. Translation ambiguity was found to be prevalent in the norming data, including three items in the unambiguous condition which had carefully been pre-selected by Korean native speakers to have a single translation. 9 of the 19 items that obtained more than one translation in the semantically ambiguous condition showed synonym translation ambiguity as well as semantic translation ambiguity. Concreteness was a factor that contributed to translation ambiguity: words with a single translation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concrete and more imageable compared to semantically ambiguous words. For ambiguous words with both concrete and abstract translations, the concrete translation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the dominant translation. Participants with lower L2 proficiency showed a tendency to provide less frequent translations compared to participants with higher profici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 ambiguity as a factor affecting bilingual word recognition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norming procedures in future studies.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현(Ji Hyon Kim). (2025).Translation Norms for Korean and English: Factors Affecting Translation Ambiguity. 영미연구, (), 57-80

MLA

김지현(Ji Hyon Kim). "Translation Norms for Korean and English: Factors Affecting Translation Ambiguity." 영미연구, (2025): 5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