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rganizing the Tension between Values: The Value System of Publishing Support Regime and the Formation of the Publisher Subje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학회
- 저자명
- 안희제(Heejeh Ahn)
- 간행물 정보
- 『문화연구』제13권 제2호, 5~4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검열체제에서 지원체제로의 전환이 한국 출판시장의 가치 체계를 어떻게 재편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출판인’이 어떤 주체로 형성됐는지를 가치화 실천 관점에서 분석한다. 2023년 4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편집자⋅마케터⋅서점 MD⋅1인출판사 대표⋅작가 등 30인을 심층면담하고 현장을 참여관찰한 인류학적 연구에 기반해, 금서 제도⋅도서정가제⋅국가 지원사업이 책의 공공성/시장성 경계를 배치하는 핵심 시장 장치임을 보여준다. 검열체제에서 구성된 운동성과 시장성의 결합은 지원체제에서 도서정가제가 국가경쟁력 담론과 결합해 공공성을 투자 가치로 평가하는 지원체제의 가치 체계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출판인은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는 권리 주체이자 국가 예산을 유치해야 하는 ‘피투자자’로 주체화되었다. 여기서 인문사회 교양 작가는 사회비판적 ‘진정성’을 포트폴리오화하여 투자 가치로 전환해야 하는 이중행위자로 자리매김한다. 본 연구는 검열체제에서 지원체제로의 변화와 최근 출판 시장에서 출판인들이 겪는 자기 모순을 가치들의 긴장을 조율하는 가치화 실천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출판에 관한 논의에 실증적⋅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from the perspective of valuation practices, how the shift from a censorship regime to a support regime reorganized the value system of Korean publishing market, and how, in this process, the ‘publisher’ was formed as a subject. Drawing on an anthropological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30 participants—including editors, marketers, bookstore MDs, one-person press owners, and authors—and participant observation conducted between April 2023 and December 2024, the study shows that the banned-book regime, the fixed book price system, and state support programs function as key market devices that pos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publicness and marketability of books. The coupling of activism and marketability forged under the censorship regime carried over into the support regime, where the fixed book price system was articulated with a discours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yielding a value system that evaluates publicness as investment value. In this process, the publisher was subjectivized both as a rights-bearing subject assert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as an “investee” who must attract public funds. Within this framework, authors in the general-interes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positioned as dual actors who must package their socially critical “authenticity” as a portfolio and convert it into investment value. By reinterpreting the shift from a censorship regime to a support regime—and the self-contradictions experienced by publishing professionals in the contemporary market—as valuation practices that organize tensions among values, this study offers empir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debates on publishing.
목차
1. 서론
2. 출판 산업의 체제 전환과 가치 체계의 구성
3. 출판인으로서 ‘작가’와 진정성이라는 가치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목차
- 케이팝 팬덤의 정동 읽기 -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를 기반으로 한 놀이의 도구화
- 한국 성판매 여성 사회적 비가시화 현상 탐구를 통한 여성주의적 방향성 고찰
- 가치들의 긴장을 조율하기 - 출판 지원의 가치 체계와 출판인 주체의 구성
- 놀이를 통해 본 고려인 아동의 초국적 정체성 - 경기도 안산시 사동 고려인 아동을 중심으로
- 각색 미니시리즈의 제작 현황에 따른 드라마 작가의 ‘각자도생’적 생산 문화 - 2021~2024년 원작 출처 및 장르 분석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은 비인간 존재인가? - 인간을 닮은 기계, 인간 외부의 존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문화연구 제13권 제2호 목차
- 케이팝 팬덤의 정동 읽기 -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를 기반으로 한 놀이의 도구화
- 한국 성판매 여성 사회적 비가시화 현상 탐구를 통한 여성주의적 방향성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