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War and commemorative projects for the Righteous Army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金祥起(Sang-ki KIM)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4집, 115~14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말 의병전쟁 연구는 1980년 이후에 활성화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의병을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들이 발표되면서 의병 연구는 심화되었다. 2000년 이후 의병전쟁 연구는 주제가 다양화된 특징이 있다. 발표된 총 229편 중에서 인물 연구가 91편으로 가장 많다. 다음이 의진과 지역이 45편, 의병 탄압이 25편, 의병 참여층이 14편이다. 인물 연구 91편 중에서 사상과 문학을 다룬 글이 33편에 달한다. 이는 의병의 활동만이 아니라 의병에 참여한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성찰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인물 중에서는 유인석이 가장 많고 다음이 최익현, 이강년, 안중근, 이소응, 임병찬 등이다. 인물의 활동 지역별로 보면충북이 가장 많고, 전북, 충남, 강원, 경북, 북한, 전남, 경기 지역의 순이다. 지역 의진에 대한 연구도 여전히 주요 주제였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지역연구가 가장 많고, 다음은 충북, 강원, 경기, 전남북, 경북의 순이다. 일제의 의병 탄압에 관한 주제도 주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시기별로는 후기의병기 의병에 대한 일제의 탄압상을 다룬 글이 많다. 의병전쟁 참여 주체들의 지향과 인식을 검토하기도 하였다. 비록 참여 주체의 지향이 주체별로 달랐지만, 다양한 지향은 義라는 가치로 수렴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언론 보도를 분석하여 당대인의 의병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밝혔다. 의병전쟁에 대한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다. 그러나 후기의병에 대한 연구는 소수의 의병장 중심으로 그치고 있다. 특히 1908년 이후 의병장들이 체포된이후에 잔여 의병들의 활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항전중에 희생되었다. 이들 무명의병들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병사층에 관심을 갖고 이들의 참여 목적과 지향 등을 해명해야 한다. 의병 연구에서 중요한것이 자료 문제이다. 국내의 의병자료는 상당한 정도로 발굴되고 이용되었다. 그러나 일본 측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는 아직도 수집,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의병전쟁 기념사업은 해방 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해방 전에 건립된 것으로는 주로 사당이었으나 일제에 의해대부분 훼철되었다. 2024년 현재 의병전쟁 관련으로 지정된 현충시설은 178건이다. 이 중에 비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다음은 창의지와 전투지, 사당, 동상, 기념관, 생가의 순이다. 현충시설을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가장 많고 다음은 전남, 전북, 강원, 충북, 경남, 충남, 경기, 서울과 광주, 인천과 대구, 제주와세종의 순이다. 의병기념관은 모두 8개소이나 제천과 청송을 제외하고는 개인기념관이다. 사당이 모두 15개소가 있는데, 이 중에 최익현을 모신 사당이 7개소로 가장 많다. 현재까지 의병전쟁 관련 기념사업은 거의 특정 개인 중심이었다. 이는 기념사업이 특정한 인물의 현창사업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지역 단위또는 의진 단위의 기념사업도 추진되었으면 한다. 또한 자료 수집과 유적지 조사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하고, 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의병전쟁자료집을 간행해야 한다. 의병전쟁에 대한 교육과 홍보, 문화행사 등도 주요한 기념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의병전쟁 전문 연구기관의 설립이 요구된다. 무명의병에 대한 관심과 기념사업도 필요하다. 의병전쟁 중에 희생된 의병의 대부분이 이름을 알 수 없는 무명의병이다. 이들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기념사업이 절실하다. 국가는 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는 보루이다. 국가로부터 아무런 혜택도 입지 못한 의병들은 국가를 지키고자 무력한 국가를 대신하여 일제와 항전하다 희생되었다. 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기림은 당연한 책무이며 나라를 지키는 또 다른 행위일 것이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me active after 1980s.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intensified in the 1990s with the publication of doctoral theses on the subject. Since 2000s, research topics have become more diverse. Among the 229 published thesis, 91 papers were on character thesis, the most numerous. Next in frequency are thesis on Righteous Army military units and regions (45), suppression of the Righteous Army (25), and participants (14). Of the 91 individual-focused thesis, 33 deal with ideology and literature, offering insights into the participants’ inner lives beyond their outward activities. The most studied figure is Yu In-seok, followed by Choi Ik-hyun, Lee Gang-nyeon, Ahn Jung-geun, Lee So-eung, and Im Byeong-chan. By region of activity, research has most often focused on Chungbuk, followed by Jeonbuk, Chungnam, Gangwon-do, Gyeongbuk, North Korea, Jeonnam, and Gyeonggi-do. Research on local Righteous Army units also remains a key topic. Regionally, Chungnam leads in the number of thesis, followed by Chungbuk, Gangwon-do, Gyeonggi-do, Jeonnam and Jeonbuk, and Gyeongbuk. Another important area of research has been Japan’s suppression of the Righteous Army, with many thesis focusing on crackdowns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movement. Scholars have also explored the aims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While these aims varied by group, they converged around the shared value of “righteousness.” Analysis of contemporary newspaper coverage has further illuminated the diverse ways the Righteous Army was perceived at the time.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Righteous Army War research overall. However, thesis on the later period remain largely centered on a few prominent leaders. Research on the activities of remaining forces after the arrest of key leaders in 1908 is especially limited, even though many of these died in combat. Greater attention is needed to study these “unknown Righteous Army” members. It is also essential to examine the motivations and goals of ordinary soldiers. A critical issue in the study of the Righteous Army is the availability of historical records. While many domestic records have been uncovered and used, materials held in Japan have yet to be fully collected or analyzed. Meanwhile, the commemorative project for the Righteous Army War began before Korea’s liberation but faced severe obstacl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liberation, most commemorative structures were shrine (祠堂), nearly all of which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empire. As of 2024, there are 178 officially designated memorial facilities related to the Righteous Army War. More than half are memorial stone, followed by sites of uprisings and battles, shrine, statues, museums, and birthplaces. By region, Gyeongbuk has the most facilities, followed by Jeonnam, Jeonbuk, Gangwon-do, Chungbuk, Gyeongnam, Chungnam, Gyeonggi-do, then Seoul and Gwangju, Incheon and Daegu, and finally Jeju-do and Sejong. There are eight Righteous Army museums in total, but except for those in Jecheon and Cheongsong, most are dedicated to individual figures. Of 15 shrines nationwide, seven are dedicated solely to Choi Ik-hyun. Up to now, commemoration effort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individual leaders, reflecting a hero-centered commemorative approach. It is important to also promote commemoration at the level of local units and regions. Comprehensive efforts are needed to collect materials and survey historical sites, along with long-term plans to publish collected works on the Righteous Army War. Education, public awareness, and cultural events related to the the Righteous Army War are also essential parts of commemora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research center for the Righteous Army War are necessary to ensure these efforts are sustained and systematic.

목차

1. 머리말
2. 의병전쟁 연구현황과 과제
3. 의병전쟁 기념사업 현황과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祥起(Sang-ki KIM). (2025).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 (), 115-145

MLA

金祥起(Sang-ki KIM). "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현대사연구, (2025): 115-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