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을 통한 사법통제절차 정비 필요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Necessity of Reforming Judicial Control Procedures by clear and practical divisions within the Investigative Process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박형관(Hyung kwan Park)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3호, 115~1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5년 가을 수사구조 개혁에 관한 열기가 뜨겁다. 검사의 수사권과 검찰청을 폐지하자는 취지의 법안을 비롯하여 여러 법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숱한 논의들이 전개되고 있지만 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을 통한 합리적 사법통제절차 정비에 관한 논의는 드물고 주로 수사기관의 신설, 경찰과 검찰의 권한 배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지 경찰이나 검찰 등 국가기관의 권한 조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아울러 인권보장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수사구조개혁은 수사과정을 실질적으로 구분하여 적절한 사법통제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종래 형사절차는 수사과정을 경찰과 검사수사단계로 나누어 규율하는 체제를 채택하였다. 위 방식은 경찰과 검찰의 권한배분에 중점을 두는 구조이다. 수사과정을 중대한 강제처분이 개시된 시점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 시점 이후 수사에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사기관의 권한남용을 방지하고 인권보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는 수사과정을 실질적으로 구분하여 규율하는 방안이다. 인신구속절차가 개시되거나 주거 등에 관한 압수수색 등 중대한 강제처분이 행해진 경우는 사실상 기소예비단계에 이른 것이다. 위 단계에 이르면 수사기한, 수사방법 및 범위를 충실하도록 합리적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수사 투명성도 더욱 높여야 할 것이고 일정한 기한 내에 경찰의 송치 여부 결정, 검사의 기소 여부 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위 단계에서는 강제수사도 공소제기에 필요한 적정한 범위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수사기관에도 위와 같은 사법적 통제절차가 필요하다. 주요 국가들도 인신구속 등 중대한 강제처분이 행해지면 수사에 대한 충실한 사법통제를 하고 있다. 강제수사가 개시된 이후 수사과정에 대한 적정한 사법 통제는 형사절차, 특히 수사절차개혁의 중요하고 지속적인 쟁점이다. 새로운 형사절차가 신속하고 공정하며 실체적 진실발견과 아울러 적법절차를 통한 국민의 인권보장이라는 목표를 충실히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논의와 토론은 필수적이다.

영문 초록

In the fall of 2025, the momentum for reforming the criminal investigative structure is palpable. Various bills have become the subject of much debate, including proposals to abolish long established prosecutorial investigative powers and even the prosecution service itself. Although many subjects are hotly contested, direct discussions on establishing a rational judicial control procedure through substantive divisions in the investigative process seem to be avoided. Instead, the focus has been placed primarily on creating new investigative agencies or redistributing authority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Reform, however, should not merely be confined to the redistribution of powers among state organs such as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It must also be pursued with the intent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while responding more effectively to crime. A desirable reform of the investigative structure should proce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vely dividing the investigative process and applying appropriate judicial control accordingly. Traditionally, criminal procedure has been structured on a framework that regulates investigations by dividing them into the police and prosecutorial phases. Such an approach overly emphasizes the allocation of powers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Instead, the investigative process sh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initiation of significant compulsory measures, and once such measures are undertaken, judicial control over the investigation should be clearly and firmly established. This would prevent the abuse of authority by the investigative bodies and enhanc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hence regulating the investigative process by a practical setting of divisions in place. When compulsory measures such as the detention of a suspect or searches and seizures of residences are executed, the case has in effect reached the stage preliminary to indictment. Once an investigation enters this phase, it is essential to reasonably restrict time limits, methods, and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to protect its integrity. Transparency of investigations should also be improved. Once an arrest has been made, the police should be limited to a set time in deciding whether to refer the case, and prosecutors should determine whether to indict within a corresponding timeframe. Furthermore, compulsory measures in this stage should be restricted to the proper scope necessary for prosecution. Judicial control procedures of this kind are necessary regardless of which investigative body is conducting the inquiries. Major countries likewise exercise thorough judicial control when compulsory measures such as detention have been effected. The question of how to regulate investigations after compulsory measures have been taken remains a central and ongoing issue in criminal procedure reform, particularly in the area of the investigation. A new criminal procedure must ensure that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swiftly and fairly, achieve substantive truth-finding, and simultaneously safeguard the citizens’ rights through due process of law. Broad and continued debate and deliberation are paramount to achieving this goal.

목차

Ⅰ. 서론
Ⅱ. 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의 의의 및 필요성
Ⅲ. 주요 국가들의 수사에 관한 실질적 사법통제 구조
Ⅳ. 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에 따른 사법통제절차 정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형관(Hyung kwan Park). (2025).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을 통한 사법통제절차 정비 필요성.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 (3), 115-144

MLA

박형관(Hyung kwan Park). "수사과정의 실질적 구분을 통한 사법통제절차 정비 필요성."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3(2025): 11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