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motion Scale (KLEST & KLAS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채부규(Bukyu Chae) 조현용(Hyunyong Cho)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1호, 201~2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즐거움 척도(KLEST)와 불안 척도(KLAST)를 개발하고, 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교사 즐거움은 ‘개인적 성취와 보람’, ‘상호작용에서 오는 즐거움’, ‘제도적·환경적 만족’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정서 경험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들은 수업 준비나 교실 상호작용에서 높은 수준의 즐거움을 보고한 반면, 제도적 지원이나 고용 안정성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즐거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한국어 교사의 정서적 경험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로운 도구를 제공한다. 비록 표본 수의 제한성과 독립적인 타당화 연구의 필요성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는 교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정서적 복지 향상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KLEST 척도는 교사의 즐거움을 증진하고 한국어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Language Enjoyment Scale for Teachers (KLEST) and the Korean Language Anxiety Scale for Teachers (KLAST).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eacher enjoyment was identified as a multidimensional emotional experience consisting of three factors: personal achievement and fulfillment, enjoyment from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Korean language teachers repor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enjoyment in lesson prepar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while lower levels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support and job security. The developed scales provide reliable tools for systematically assessing Korean languag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Despite limitations such as a small sample size and the need for independent valida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emotional well-being. These findings also contribute to enhancing teacher enjoyment and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한국어 교사를 위한 즐거움 척도(KLEST) 검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학 제101호 목차
- 학술 논문 인용문의 수사적 기능별 저자 입장 분석 연구
- 외국어 교사 감정노동의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 영어트랙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사용 선호와 인식 연구
- 의미지도를 활용한 의존명사 ‘것’의 의미 기술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 과제 유형 및 사용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이중부정문의 인지 처리 - 모어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비교
- 한국어 교사 감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어 ‘잘’류 속성 피동문과 중국어 ‘NP+好V’ 구문 대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