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emantic Map-Based Analysis of the Korean Dependent Noun ‘Geo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임가봉(JIAFENG LIN)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1호, 119~1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의존명사 ‘것’의 문법화 과정을 의미지도를 활용하여 기술하고, 이를 통해 의미지도가 문법화 연구의 분석 도구로서 갖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것’은 구체적인 사물 의미에서 시작하여 추상적인 '상황', 양태적·화용적 의미로 확장되어 온 대표적인 문법화 사례이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 제시된 용례를 분석하여 의미 확장 경로를 도출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한 의미지도를 제시하였다. 특히 단순한 의미 유사성이 아닌 통사적 실현 양식과 기능 간 인접성을 근거로 하여 의미 간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의미지도의 실증적 분석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문법 항목 간의 의미 연계 구조를 보다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시적·통시적 관점을 통합한 문법화 연구의 새로운 분석 틀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의미지도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복합적인 문법 항목의 구조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수 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grammaticalizaition of the Korean dependent noun ‘goet(것)’ using a semantic map framework. The noun ‘goet(것)’ has developed from a concrete reference to objects into abstract functions such as situation marking, modality, and discourse functions, making it a representative case of grammaticalization in Korean. Based on examples from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identifies the paths of semantic expansion and visualizes them in a semanitc map. The connections between semantic nodes are established not merely by intuitive similarity but grounded in syntactic patterns and functional proximity, thereby reinforcing the empirical applicability of semantic maps. The results suggest that semantic maps can complement diachronic analyses by offering a systematic synchronic representation of semantic structures. Moreover, this approach holds pedagogical value by enabling learners to understand complex grammatical meanings through conceptual networks rather than rote memorization.
목차
1. 서론
2. 문법화 및 의미지도
3. 의존명사 ‘것’의 의미 기술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학 제101호 목차
- 학술 논문 인용문의 수사적 기능별 저자 입장 분석 연구
- 외국어 교사 감정노동의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 영어트랙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사용 선호와 인식 연구
- 의미지도를 활용한 의존명사 ‘것’의 의미 기술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 과제 유형 및 사용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어 이중부정문의 인지 처리 - 모어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비교
- 한국어 교사 감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어 ‘잘’류 속성 피동문과 중국어 ‘NP+好V’ 구문 대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Verum Beyond Focus: Comparing VP-Preposing in Korean and English
- A Presuppositional Approach to Binding in Korean, with the Focus on Locally Bound Caki
- Bound Noun man + Light Verb ha in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