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Violence in School Sports Teams: A Focus on International Case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범오(Beom-Oh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3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 내 폭력의 원인과 실태를 분석하고,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한민국의 학교운동부는 엘리트 체육 인재 양성의 핵심 제도로 기능해 왔지만, 동시에 성적 지상주의와 위계적 문화 속에서 폭력과 인권 침해가 반복되어 왔다. 특히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폭력에 노출된 경험은 성인이 된 후 폭력 가해자가 될 가능성을 높이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할이 순환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적ㆍ사후적 개입의 필요성이 있다.
학교운동부 폭력 대응을 위해서는 학교운동부 특성인, 폐쇄성과 위계적 문화로 인해 폭력이 은폐되기 쉽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대응책으로는 학교운동부 출신 전담 수사관 양성, SPO(학교전담경찰 관) 배치 등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소셜 미디어 모니터링 시스템과 AI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및 챗봇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감지ㆍ대응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이버폭력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할 수있을 것이다.
아울러, 해외 사례 분석 및 법ㆍ제도 개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교운동부 폭력 대응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예방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과 피해 학생선수에 대한 심리적 회복지원 체계 강화의 필요성도 함께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 중 특히 운동부 내 폭력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정교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search has shown that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or witnessed violence during childhood or adolescence are more likely to become perpetrators of violence in adulthood. In particular, one study found that approximately 50% of those who were victims of violence in childhood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violent or criminal behavior later in life.
Accordingly,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can be analyzed in terms of both proactive and reactive approaches. Proactive prevention should involve strengthening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systems and ensuring the thorough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on violence prevention. In contrast, reactive measures must include improving investigative procedures and response protocols to enable swift and fair handling of incidents, along with establishing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Studies also indicate that children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are at increased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at perpetrator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can often switch roles, making it necessary to prepare for such dynamic interactions.
In particular, violence within school athletic programs requires a differentiated approach from general school violence. This includes the recruitment of School Police Officers (SPOs) dedicated to athletic departments, an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investigators for school sports-related incidents. The introduction of social media monitoring systems and AI-based algorithms can enable real-time detection and response to cyberbullying. Additionally, applying AI technologies for big data analysis and chatbot systems can help predict potential violence and establish immediate response mechanisms.
It is also essential to implement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student-athletes, coaches, and parent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eriousness of violence and methods for prevention. Furthermore, counseling and support programs must be established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of victimized student-athletes.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refine the school athletic violence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by investigating policy demands and evaluating institutional effectivenes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qualitative interviews and surveys with frontline officers, academic experts, and legal professionals, are needed to ensure both the practical viability of policy formation and diversity in institutional 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운동부 폭력에 대한 고찰
Ⅲ. 각국의 학교운동부 폭력실태 및 대응현황
Ⅳ. 대응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 국가수사위원회 설치 및 운영의 실효성에 대한 검토 및 제언
- 불법촬영 제재 유튜버 영상 댓글에 나타난 사적 제재 인식 분석
- 아동교육시설 주변 등록 성범죄자의 거주지 제한 반경에 관한 공간적 분석: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비교를 중심으로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정책 강화를 위한 민간경호 지원사업 운영체계 고도화 방안
- 일본 탐정제도 분석을 통한 한국형 탐정업법 제정 방향 고찰: 일본의 「탐정업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학교운동부 폭력대응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