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저자명
김경하(Kyung-Ha Kim)
간행물 정보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제42권 제4호, 572~584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공학 > 화학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임상실습 전환충격과전문적 자아개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G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자료는 2025년 4월 7일부터5월 16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임상실습 전환충격은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β=-.310, p<.001). 2단계에서 임상실습 전환충격은 전문적 자아개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β =-.387, p<.001), 3단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임상실습 전환충격과 전문적 자아개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상실습 전환충격: β=-.317, p<.001; 회복탄력성: β=.224, p<.001).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전환충격을 완화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s a strategy to enhanc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enrolled in two nursing departments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7 to May 16, 202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In step 1,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β=-.310, p< .001). In step 2,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had a negative effect on professional self-concept (β=-.387, p<.001), and in step 3,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β=-.317, p<.001; resilience: β=.224,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es to alleviate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enhance resilience are necessary to improve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Acknowledg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하(Kyung-Ha Kim). (2025).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42 (4), 572-584

MLA

김경하(Kyung-Ha Kim).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42.4(2025): 572-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