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Mourning in Pea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박보영(Bo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30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인간 삶의 피할 수 없는 요소인 애도와 그에 수반되는 감정을 억누르고 있으며 이것이 사회 도처에서 교육학적으로 주목해야 할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자연스러운 애도 표현 및 담론이 억눌린 사회에서 개인은 “충분히 슬퍼할 권리”를 누리지 못하며, 사회는 취약성에 대한 공감과 연대로부터 구축되는 힘을 축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애도를 “인간이 삶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상실에 대한 반응 및 이에 대한 사회·문화적 표현 방식”으로 정의하고,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 충분한 애도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폭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개인적 차원에서의 애도는 2인칭 관계의 상실에 대하여 성역할 고정관념을 비롯한 문화적 폭력이 충분히 슬퍼한 후 떠나보내는 것을 가로막는 상황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1인칭 관점에서 애도는 자신의 취약성이나 실패를 슬퍼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가 양산하는 고립·은둔 청년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사회적 차원에서의 애도는 애도를 가로막는 혐오의 문제가 관련되는데, 이러한 혐오는 애도에 대한 두려움과 더불어 애도 가치에 대한 불평등한 시선에서 비롯됨을 논의하였다. 이에 대하여 모든 생명체의 “살만한 삶”을 위한 평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적극적 비폭력”의 교육, 교육에서 감정의 전향적 수용, “살아가는 힘”으로서의 평화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Korean society suppresses mourning—an inevitable element of human life—and the emotions that accompany it, thereby generating educationally significant problems throughout society. In a society where the expression and discourse of mourning are repressed, individuals are denied “the right to grieve fully,” and the community fails to build mental capacity through empathy and solidarity grounded in vulnerability.
In this study, mourning is defined as “a human response to experienced vulnerability and loss in life, and the sociocultural modes of expressing such responses.” It explores the forms of violence that hinder adequate mourning on both personal and societal levels. On a personal level, mourning the loss of a 'you' (second-person relationship) is often obstructed by cultural forms of violence such as rigid gender norms, which prevent individuals from fully grieving and letting go.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mourning also includes grieving one’s own vulnerability or failure, and this study discusses how society produces socially withdrawn youth by denying grief. At the societal level, the study addresses how hate impedes mourning. Such hatred is rooted in fear of mourning itself and in hierarchical perspectives on whose lives are deemed worthy of grief.
In response, the study proposes a model of peace education aimed at enabling a “livable life” for all beings. It advocates for education in “proactive nonviolence,” pedagogical environments that foster affirmative engagement with emotions, and the cultivation of peace competencies as sources of “life-sustaining strength.”
목차
Ⅰ. 문제제기: 애도를 두려워하는 사회
Ⅱ. 애도(哀悼)의 의미와 중요성
Ⅲ. 애도와 폭력
Ⅳ. “애도 가능한 삶”을 위한 평화교육
Ⅴ. 나오며: 충분히 슬퍼할 수 있는 평화적 인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