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assification and Study of Li(利) Related to Defecation in the Guilin Old Edition of the Shanghanzabinglun : With a Focus on Possibility for Urination of Zili(自利)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장은수(Eunsu Jang) 한우진(Woojin Han) 허원영(Wonyoung Heo)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3호, 97~1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i(利) in the Guilin old edition of the Shanghanzabinglun, used in symtoms related to defecation.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the possibility for urination of Zili(自利) to suggest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a diagnostic index for the Three-Yin-Three-Yang illness patterns.
Methods : In this study, the Li(利) terminology was surveyed in the Guilin old edition of the Shanghanzabinglun published by Jung-Gyeong Publishing Co. in 2017.
Results : Li(利) was expressed in various terminology in relation to defecation, such as ‘小便自利’, ‘小便利’, ‘小便不利’, ‘大便利’, ‘自利’, ‘不利’, ‘下利’, ‘不下利’, ‘得利’, ‘不得利’, ‘利’, ‘利下’, ‘自下利’, ‘自便利’, ‘滑利’, ‘協熱(而)利’, ‘熱利’, ‘厥利’, ‘氣利’, ‘疫利’, ‘吐利’, etc. The term ‘小便自利’ was used in the text, but ‘大便自利’ was not. ‘利’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shuigu[水穀, fluid and grains]. When combined with gu(穀), referring to the state of excrement, especially stool, it was expressed as Xiali(下利). When combined with shui(水), referring to the state excrement, expecially urine, it was expressed as Zili(自利). Other verses matched such findings, indicating that in the Shanghanlun, ‘自利’ and ‘下利’ refer to the state of urine and stool, respectively. Zili(自利), together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irst(渴) was used as a diagnostic index for distinguishing between Taiyin and Shaoyin patterns.
Conclusions : While there is still some controversy, it can be assumed that ‘自利’ refers to the state of urine and ‘下利’ refers to the state of stool. Further study is requir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 『청강의감』과 『동의보감』의 대변 질환 치료의 특징 비교
- 조선 후기 유학자 유희(柳僖)의 고증학을 활용한 『황제내경』 연구 - 『소문왕주보교정(素問王註補校正)』을 중심으로
- 상한잡병론 계림고본 대소변 관련 리(利)의 분류와 고찰 - 자리(自利)의 소변 가능성을 중심으로
- 任彦國의 가계와 생애
- ‘陽明之表’ 관련 논의들에 대한 연구
- 『景岳全書·雜證模』에 수록된 董某氏 노인 요통의 의학 진단과 辨證에 대한 연구
- 한의학 원전에 나타난 나력의 개념, 병리기전 및 치법 연구 - 결핵성 림프절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후지가와문고 소장본 『醫林撮要』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