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신(武臣) 이제마의 몸들-활 쏘는 몸

이용수  0

영문명
Military official Lee-Jema and his Bodies: A Bow-shooting Body
발행기관
한국의철학회
저자명
최성운(Sung-Woon Choi)
간행물 정보
『의철학연구』제39권, 27~7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제마는 인간 몸의 외형을 각기 동등한 지위를 지니고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네 개의 구역인 사초(四焦)로 나눴다. 각 구역에 배속된 앞쪽과 뒤쪽의 부위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구역별로 특정한 자세를 취한다. 턱과 목덜미‧뒷머리, 가슴과 어깨, 배꼽과 허리 그리고 아랫배와 방둥이의 “뒷머리와 목덜미의 우뚝 솟은 자세(腦顀之起勢)”와 “가슴의 감싸안은 자세(胸襟之包勢)”, “허리둘레의 똑바로 선 자세(腰圍之立勢)” 및 “골반의 앉은 자세(膀胱之坐勢)” 중 배꼽과 골반의 앉은 자세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내용들이 궁술로부터 기원하였다. 또한 활을 쏘는 몸은 구역 내에서의 부위간 전후 관계 외에도 구역을 넘어선 부위들끼리 서로 연결되어 방둥이부터 머리까지의 부위들이 직립하는 자세를 취한다. 전면부의 턱과 가슴, 가슴과 아랫배, 그리고 후면부의 허리로부터 어깨를 거쳐 뒷머리까지 연결되는 것이다. 네 구역 모두를 아우르는 전체로서 몸이 취하는 자세는 주로 후면부에서 이루어지는 육체적 힘의 발생과 전달 그리고 전면부에서 복식호흡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의 소통이라는 두 측면에서 교직되어 형성된다. 올바른 활쏘기를 위한 자세를 통해 구성되는 몸의 구조로부터 근력 및 기력이 발생하므로, 육체적인 건강을 위한 치료와 양생에 활용될 수 있다. 궁술의 몸이 사상의학으로 도입되는 것에 수반하여 육체적 건강에 대해 궁술의 몸이 지닌 함의 또한 사상의학 내로 도입되었다. 이것이 바로 사상인으로 나뉘기 이전에 인간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외형적인 몸이 지닌 이론적 가치이다. 본고를 통해 발굴된 이제마의 활 쏘는 몸은 그간 이제마의 정체성으로 여겨지던 유학자와 의학자 외에 활을 쏘는 무신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이 의학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는 점을 보여준다. ‘조선의 무신’이라는 이제마의 호 동무(東武)에서 드러나는 무신으로서의 정체성은 그가 무과급제와 무신의 승진을 위한 인사고과의 가장 중요한 수험과목이었던 궁술의 연마로 이어졌고, 이로 통해 얻은 인체에 대한 통찰력이 사싱의학에 적용되었다. 이것은 무신으로서 성공하기 위해 획득해야 할 다른 자산들 역시 이제마의 사유를 형성하는 또 다른 기원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무과와 인사고과의 수험과목인 군사학 서적(兵書)들 역시 대해 이제마의 사상에 접근하기 위해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Lee-Jema (李濟馬) divided the human body into four zones of each with equal status and relative independence, called Sa-cho (四焦). The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assigned to each zone are balanced with each other and associated with specific postures for each zone. These parts of body are jaw versus the back of the head and neck (腦顀), chest (臆) versus shoulder (肩), navel (臍) versus waist(腰) and lower abdomen (腹) versus Buttock (臀). Corresponding postures are “rising high posture of the back of the head and neck (腦顀之起勢)”, “the embracing posture of the chest (胸襟之包勢)”, “the upright posture of the waist (腰圍之立勢)”, and “the seated posture of the pelvis (膀胱之坐勢)”. Most of the content originated from archery, except for the navel and the seated posture of the pelvis. In addition to the anterior-posterior relationship between parts within each zone, the bow-shooting body assumes an upright posture with the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beyond the zones. In the front, connections run to the jaw and chest, and to the chest and lower abdomen. In the back, connections run from the waist through the shoulder to the back of the head. The posture of the body as a whole, encompassing all four zones, is formed by the interweaving of two aspects: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physical force, which occurs primarily in the back, and the smoother flow of Qi (氣), which occurs through abdominal respiration in the front. Since strength and Qi are generated from the body structure that is formed through the correct posture for archery, it can be utilized for treatment of diseases and nurturing of physical health. The implications of the body of archery for physical health were also introduced in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is is the theoretical value of the external body that humans have in common before being divided into Sasangin (Four constitutions of human-being, 四象人). The bow-shooting body of Lee-Jema (李濟馬) presented in this paper shows that, in addition to the identities of Lee-Jema (李濟馬) as a Confucian scholar and a medical doctor, his identity as a military official who shoots arrows also has significant medical implications. His pen name Dongmu (東武), meaning “Joseon's military official,” led to his training in archery. It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personnel evaluation for passing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promotion to military official, and the insight into the human body gained through this was applied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is suggests that other military-related knowledge and resources required for success as a military official, such as military science books (兵書), may further illuminate Lee Je-ma’s thoughts and deserve closer examin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이제마의 한양 군관 생활과 궁술 실력
3. 이제마의 궁술 유래 신체-자세-행위 용어
4. 상하와 전후로 구획된 활 쏘는 몸
5. 결론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운(Sung-Woon Choi). (2025).무신(武臣) 이제마의 몸들-활 쏘는 몸. 의철학연구, (), 27-73

MLA

최성운(Sung-Woon Choi). "무신(武臣) 이제마의 몸들-활 쏘는 몸." 의철학연구, (2025): 2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