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계적 존재론의 두 모델 : 스피노자와 후설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Two Models of Relational Ontology : Focusng on Spinoza and Husserl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저자명
박솔해(Solhae Park)
간행물 정보
『고황논집』제75집, 3~1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어떤 방식으로든 다른 것과의 관계 맺음 속에서 존재한다. 이렇듯 존재에 있어서 관계의 필수성을 고려하여 존재를 새롭게 정의하려는 시도로 관계적 존재론을 논할 수 있다. 관계적 존재론은 존재와 관계의 긴밀한 연관성을 통해 존재를 새롭게 설명하는 것으로, 기존의 철학사에 대한 냉소적이고 이기적인 존재론적 해석을 극복하고, 조화와 평화 등 공동체적 가치를 존재의 조건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스피노자와 후설의 철학은 관계라는 관점에서의 새로운 존재론 확립에 적합한 학자들이다. 두 학자는 존재에 있어서 관계의 필수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정확히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를 존재의 필수조건으로 제시했는가에 관해서 차이가 있다. 인과관계를 통해 존재를 설명하는 스피노자의 모델과 개별 자아들의 타자 구성을 통해 존재를 설명하는 후설의 모델은 관계를 시작하는 시작점의 수와 관계의 방향성, 그리고 관계의 계층성에 있어서 각각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의 비교를 통해 관계적 존재론이라는 새로운 존재론의 가능성과 의의를 살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orld exists in relation to something else in some way. Considering the essentiality of relationships to existence, we can discuss Relational Ontology as an attempt to re-define existence. Relational ontology seeks to re-examine existence through the close interconnection between being and relationships. It overcomes the interpretation which regards western philosophy as cynical and selfish ontology and offers community-based values, such as harmony and peace, as conditions of existence. To constitute a new ontology with relations, Spinoza and Husserl’s philosophy is appropriate. Both philosophers share the idea that relationships are essential to existence, but have difference in the specific relationships they propose as fundamental conditions of being. For Spinoza, relationship composing existence is causality, whereas Husserl’s model focuses on the constitution of others by individual selves. These models have differences in three points: the number of starting points for relationships,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hierarchy within relationships. By comparing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can explore the potential and significance of relational ontology as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existenc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관계적 존재론의 가능성
3. 스피노자와 후설의 관계적 존재론 비교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솔해(Solhae Park). (2024).관계적 존재론의 두 모델 : 스피노자와 후설을 중심으로. 고황논집, (), 3-18

MLA

박솔해(Solhae Park). "관계적 존재론의 두 모델 : 스피노자와 후설을 중심으로." 고황논집, (2024): 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