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도시대 사람들이 읽은 조선본 4] 정치와 함께 재편된 조선본 소장자 - 간시쓰 겐키쓰(閑室元佶) 소장 갑진자본 『정선당송천가연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태학사
- 저자명
- 이유리
- 간행물 정보
- 『문헌과 해석』통권 제97호, 51~6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단 하루의 전쟁이 초래한 결과
이에야스 장서의 첫 번째 이동
이에야스에게 하사받은 조선본 『정선당송천가연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근세 일본에서의 조선본 『연주시격』의 수용과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륭제(乾隆帝)의 취진자(聚珍字)와 정조(正祖)의 생생자(生生字) - ‘생생자’ 용어의 부활을 기다리며
- 미타 정토 신앙과 「안락국태자전」을 통해 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도상 스토리와 명문의 이해
- 하버드 옌칭도서관 소장 육군 통역 고이즈미 데이조(小泉貞造) 자료에 대하여 (4)
- [에도시대 사람들이 읽은 조선본 4] 정치와 함께 재편된 조선본 소장자 - 간시쓰 겐키쓰(閑室元佶) 소장 갑진자본 『정선당송천가연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 표암 강세황 - 붓을 꺾인 문인화가의 자화상
- 조선시대에 5리마다 오리나무를 심었을까? - 적양(赤楊), 유리목(楡理木), 기목(榿木), 오리목(五里木) 등 오리나무 한자 용례 검토
- 단양 석문의 선인전(仙人田)과 옥종굴(玉鍾窟)
- 남양주의 옛길 상도(上道)와 하도(下道)
- 문헌과 해석 통권 제97호 목차
- 고활자판 탐정의 사건첩 (1)
- 『별감방일기』와 조선 후기 별감의 경제적 배경
- 『다산기영전간첩(茶山寄營田簡帖)』에 대하여
- 임란 전 『천자문』 주석본(註釋本) 『신간천자주석』 간행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건륭제(乾隆帝)의 취진자(聚珍字)와 정조(正祖)의 생생자(生生字) - ‘생생자’ 용어의 부활을 기다리며
- 미타 정토 신앙과 「안락국태자전」을 통해 본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도상 스토리와 명문의 이해
- 하버드 옌칭도서관 소장 육군 통역 고이즈미 데이조(小泉貞造) 자료에 대하여 (4)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