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olice officer Personality on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Moderating of Organizational Climat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재경(Jae-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1호, 35~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직장폭력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 성향에서만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직장은 다양한 성향의 구성원들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장소로서 그 조직의 구성원들이 암묵적으로 공유하는 조직풍토가 윤리적인지 혹은 적대적인지에 따라서 그들의 공격성향을 약화 또는 강화 시킬 수 있다. 즉 직장 내 조직풍토는 구성원 개개인의 행동을 조절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 동안의 직장폭력 연구는 단편적인 원인분석에만 집중되어져 왔으며 직장폭력의 조절변수로서 조직풍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 및 조직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개인성향과 직장폭력 인식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풍토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성향과 직장폭력 인식의 관계에 있어서 개인성향의 하위변수인 분노성향과 권위주의 성향은 모두 경찰공무원의 직장폭력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풍토와 직장폭력 인식의 관계에서 조직풍토는 윤리적 조직풍토와 적대적 조직풍토 중 적대적 조직풍토만이 경찰공무원의 직장폭력 인식에 정(+)적인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성향과 직장폭력 인식에 있어서 조직풍토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경찰공무원의 분노성향과 직 장폭력 인식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풍토의 조절효과는 윤리적·적대적 조직풍토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권위주의 성향과 직장폭력 인식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풍토의 조절효과는 윤리적 조직풍토의 경우 부(-)적 조절역할을, 적대적 조직풍토는 정(+)적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윤리적 조직풍토는 경찰공무원의 권위주의성향을 약화시키는 반면 적대적 조직풍토 는 경찰의 권위주의 성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orkplace violence does not only occur in the individual's problem disposition. The workplace is a place where various members of the group form relationships and interact. Therefore, workplace violence will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workplace is an ethical or hostile organizational climate. In other words,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workplace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the behavior of its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of police officers and the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both trait anger and authoritarian tendencies had an impact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workplace violence perception, only the hostile organizational climate had an effect on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Third, The ethical organizational climate and hostile organizational climate played a role in reg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tendencies and perceptions of workplace violence. Organizational climate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rait anger and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 윤리의식이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부모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의 성립요건 및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소고
- 가부장가정환경과 성영상물유통의 관계에서 주요 외내적 통제요인으로 처벌억제와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 테러리즘 위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국제정치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사이버 공간에서의 폭력적 극단주의 급진화를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개인성향이 직장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직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노인학대 예방 및 대응에 대한 경찰의 역할
- 소년교도소 수용자의 내외 통제성과 자아존중감 분석을 통한 형사정책적 함의
- 동물학대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