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lice Measures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Women: Focus on Jeju Distric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윤영(Yoon-Young Kim) 김정규(Jung-Gyu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0권 제3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남편에 의한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경찰정책의 개선방안을 네 가지 측면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경찰신고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이주 여성의 신고율이 낮은 원인으로 언어의 문제와 경찰의 사건대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지목할 수 있다. 언어의 문제로 인한 가정폭력 신고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주여성 담당 경찰관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요청된다. 아울러 경찰의 신고 출동시 적극적이고 엄정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인 피해자 지원을 연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찰과 다문화 가정폭력 예방기관과의 상호 보완과 협조관계 구축해야 한다. 경찰의 다문화 가정지원을 위한 자원의 한계를 인식하고 여타 정부기관과의 협조적 측면에서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배양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경찰관에 대한 다문화 가정폭력 사건처리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이 참여하는 가정폭력 예방활동도 전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 선행된 외국의 경우 소수민족 등을 배려하기 위한 국적별 채용을 시행하여 조직에 다문화 지원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결혼이주민에게 실질적인 경찰지원을 위해 이주여성의 경찰채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다문화 상황은 아직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기초영역인 다문화 가정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 경찰은 온전한 다문화 가정을 유지하는데 심각한 위해를 초래하는 가정폭력 문제에 대해 그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찰의 노력은 향후 다문화 사회의 안정적 정착에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f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women issue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four improvement plans of police policy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violence.
First, police report should activate for th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about multicultural migrant women.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report to the police because they hav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can’t be able to communicate.The police officer in charge of migrant women should help to report about domestic violence. In addition, the police officer must respond strongly against assailant and victims should be protected substantially.
Second, police and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Police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so police cooperate with other government agencies to support effective multicultural family.
Third,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must carried out multicultural domestic violence cases. Multicultural families involved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Finally, polices should employ migrant women that is to give practical help for them.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optimistic the situation up to the present. Forms the basis for the settle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famil. Therefore multi-cultural families must be protected. The reform of police policy about multicultural domestic violence will make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제주지역 다문화가족 가정폭력 실태
Ⅳ.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 불링을 통한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범죄예방정책의 킹핀효과(Kingpin effect) 분석: 주취자 이슈의 확산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CYBERBULLYING AND COUNTERMEASURES FOR THE SOLUTIONS
- 경찰위상 강화를 위한 치안정책 의사결정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의 자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국내 민간조사업체의 주요업무와 범위
- 경찰의 비리실태에 따른 징계에 미치는 요인분석
- 미국의 대테러활동을 위한 정보공동체(IC)의 역할과 함의
-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 폭력피해 방지를 위한 경찰활동 방안: 제주지역을 표본으로
- 민간경비원의 경력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소진과의 관계
- 유라시아지역에서의 범죄와 테러의 전략적 결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