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방안 - 한중FTA 활용 및 비관세조치 대응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Export Strategies for Korean Cosmetics to China: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the Korea-China FTA and Responses to Non-Tariff Measures
발행기관
성균관대학교 무역연구소
저자명
주천홍(TIANHONG ZHOU) 오금하(JINXIA WU)
간행물 정보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제7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류의 세계적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 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특히 중국은 최대 수출국으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다. 2015년 발효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나, 일부 품목의 개방 제외와 복잡한 비관세장벽으로 인해 실질적 활용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중 FTA 발효 전후 한국 화장품의 수출 동향과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하고, 양허율 및 원산지 기준을 한-미·한-EU FTA와 비교하여 관세 혜택구조를 고찰한다. 또한 중국의 최신 비관세조치를 신규 및 기존 수출 제품으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수출 현장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어려움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FTA 활용도 제고 및 비관세장벽 대응을 위한 실질적인 수출 전략을 제시하고,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 산업의 지속가능한 중국 시장 진출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global spread of the Korean Wave (Hallyu), the Korean cosmetics industry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with China emerging as the largest export destination and a market of strategic importance.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FTA), which took effect in 2015, provide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however, its practical utilization has been limited due to the exclusion of certain items from liberalization and the presence of complex non-tariff barriers. This study analyzes the export trends and market share changes of Korean cosmetics before and after the FTA's implementation. It also examines the structure of tariff benefits by comparing concession rates and rules of origin (PSR) with those of the Korea-U.S. and Korea-EU FTAs. Furthermore, the study categorizes and reviews China's recent non-tariff measures by newly exported and existing products, and analyzes specific challenges encountered in the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practical export strategie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FTA and to address non-tariff barriers. It also offers policy and operational implications, aiming to support the sustainable entry of the Korean cosmetics industry into the Chinese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한-중 FTA와 화장품 수출에 관한 고찰
Ⅲ. 한-중 FTA상 화장품 관련 규정
Ⅳ. 중국의 화장품 관련 비관세조치
Ⅴ. 한국산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천홍(TIANHONG ZHOU),오금하(JINXIA WU). (2025).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방안 - 한중FTA 활용 및 비관세조치 대응을 중심으로.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7 (2), 1-31

MLA

주천홍(TIANHONG ZHOU),오금하(JINXIA WU).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방안 - 한중FTA 활용 및 비관세조치 대응을 중심으로." Asian Trade Risk Management(ATRM), 7.2(2025):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