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Using Hallyu Cultur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Focus on Research Trend Analysis from 2010 to 2022 -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편집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9권 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한국어교육 분야의
한류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
육에서의 활용 현황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학술지 논문, 학위 논문, 학술 발표 자료 등 총 45편의 연구를 수
집하여 연도별, 연구 방법별, 주제별로 분류·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
류 문화콘텐츠는 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
안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K-드라마, K-팝,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장르
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혼합 연구와 양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류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토대 구축, 교육
과정과의 연계성 강화, 최신 매체 환경과 학습자 요구에 부응하는 콘
텐츠 개발과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Hallyu
cultural conten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from
2010 to 2022, and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ir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 total of 45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dissertations, and academic present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year, research method, and topic. The
results showed that Hallyu cultural contents were mainly used to suggest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studies focused on various genres such as K-drama, K-pop, movies, and
gam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while mixed methods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relatively
few.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Hallyu cultural contents, strengthen the linkage with
curriculum, and revitalize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hat meet the latest media environment and learner need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