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한계시록의 엘리야 모티프(motif) 사용 연구 : 열왕기서 사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Use of Elijah Motif in the Book of Revelation
발행기관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저자명
이봉연(BongYeon Lee)
간행물 정보
『신약연구』제24권 제2호, 228~262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서 엘리야 모티프를 분석하고, 그 적용 범위를 일부 본문이 아닌 계시록 전체로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기존연구는 ‘이세벨’(2장)과 ‘두 증인’(11장)에 집중되었으며, 계시록에서엘리야의 직접적 언급이 드물어 그 중요성이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요한계시록에서 엘리야 모티프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밝히며, 이를 통해 계시록 저자가 교회론적 의미를 강조하려 했음을 논증한다. 열왕기에서 엘리야는 우상숭배에 빠진 이스라엘을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모세와 같은 선지자’로 묘사되며, 이후 말라기를 통해 종말에 출현할 인물로 기대되었다. 이는 복음서에서 세례 요한과 연결되며, 계시록의 ‘두 증인’ 묘사에서도 확인된다. 계시록 저자 요한은 이세벨, 아마겟돈, 하늘에서 내린 불 등 엘리야 관련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1세기 우상숭배적 시대 상황을 신학적 으로 설명한다. 그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엘리야 모티프를 사용한다. 첫째, 로마 제국의 우상숭배적 통치를 아합-이세벨과 연결하여 교회의 상황을 설명하며, 두아디라 교회의 거짓 교사를 ‘이세벨’로 지칭한다. 둘째, 일곱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을 강조하며, 두 증인을 통해교회를 예언자적 증언 공동체, 전투하는 교회, 고난받는 교회, 보호받는 교회로 묘사한다. 저자 요한은 엘리야 모티프를 단순한 인용이 아닌, 인물과 역사적맥락, 신학적 주제를 통합하여 재해석함으로써 1세기 독자들이 계시록의 예언적 의미를 교회론적으로 깊이 이해하도록 돕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lijah motif in Revelation, expanding its application beyond specific passag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Jezebel” and the “two witnesses,” as explicit references to Elijah are ra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author employs the motif to emphasize ecclesiological significance. Elijah is depicted in Kings as a “second Moses,” calling Israel back to God. Malachi anticipates his return in the end times, influencing the Gospels’ portrayal of John the Baptist and Revelation’s “two witnesses.” Revelation integrates Elijah-related themes—Jezebel, Armageddon, fire from heaven—to interpret 1st-century idolatry. The Roman Empire’s rule parallels Ahab and Jezebel, with Thyatira’s false teacher called “Jezebel.” The seven churches are portrayed as a prophetic, battling, suffering, and protected community. Rather than simply quoting Elijah’s story, John reinterprets it within its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 deepening the prophetic message of Revelation from an ecclesiological perspective.

목차

1. 시작하는 말
2. 계시록의 엘리야 모티프 선행 연구
3. 일곱 교회와 엘리야 모티프
4. 두 증인과 엘리야 모티프 (계 11장)
5. 땅 짐승과 엘리야 모티프 (계 13:13)
6. 아마겟돈과 엘리야 모티프(계 16:16)
7. 저자 요한의 엘리야 모티프 사용 의도
8.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봉연(BongYeon Lee). (2025).요한계시록의 엘리야 모티프(motif) 사용 연구 : 열왕기서 사용을 중심으로. 신약연구, 24 (2), 228-262

MLA

이봉연(BongYeon Lee). "요한계시록의 엘리야 모티프(motif) 사용 연구 : 열왕기서 사용을 중심으로." 신약연구, 24.2(2025): 228-2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