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눅 10:25-37)와 전통적 읽기의 타당성 탐색

이용수  3

영문명
Exploring of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Reading of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Luke 10:25-37)
발행기관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저자명
윤철원(Cheol-Won Yoon)
간행물 정보
『신약연구』제24권 제2호, 159~1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해석의 문제를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이 비유가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갈등 극복의 중요성과 이웃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한것으로 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차머즈(Matthew Chalmers)와 브라운/야마자키·랜섬(Jeannine K. Brown/Kazuhiko Yamazaki-Ransom) 같은 최근 학자들은 사마리아인을 이스라엘의 일부로 보아야 하며이 비유는 이스라엘 내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해석의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한다. 첫째, 역사적 맥락을무시하여 당시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갈등을 적절히 반영하지못한다는 점이다. 둘째, 사마리아인이 이스라엘의 일부로 간주하는이유에 대한 설명이 불분명하여 다른 성경 본문 및 역사적 증거와의일관성이 부족하다. 셋째, 새로운 해석은 비유의 의미를 지나치게 확장하여 일관성 문제를 제기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해석의 타당성을 재확인하고 새로운 해석의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기존 관점의 강점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new interpretations of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n Luke’s Gospel, highlighting the issues with the new interpretations. Traditional interpretations view the parable a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overcoming the conflict between Jews and Samaritans and the significance of loving one's neighbor. In contrast, recent scholars like Chalmers, Brown, and Yamazaki-Ransom argue that the Samaritan should be seen as part of Israel and that the parable addresses internal issues within Israel. The paper identifies several issues with the new interpretations. First, it neglects the historical context, failing to adequately reflect the conflict between Jews and Samaritans of the time. Second, it lacks consistency with other biblical texts and historical evidence, with an unclear explanation of why the Samaritan is considered a part of Israel. Third, the new interpretations excessively expands the meaning of the parable, leading to issues with coherence. In conclusion, the paper reaffirms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nd underscores the strengths of the existing perspective by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the new interpretations.

목차

들어가는말
1.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와 문제 제기
2.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해석의 역사
3.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새로운 읽기
4.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5. 평가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철원(Cheol-Won Yoon). (2025).‘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눅 10:25-37)와 전통적 읽기의 타당성 탐색. 신약연구, 24 (2), 159-188

MLA

윤철원(Cheol-Won Yoon).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눅 10:25-37)와 전통적 읽기의 타당성 탐색." 신약연구, 24.2(2025): 15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