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변화의 국제지정학적 함의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n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Geopolitics of US-China Relationship in Trump's Second Term
발행기관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저자명
이지용(Jiyong Lee)
간행물 정보
『신아세아』第32卷 第2號,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동아시아 및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 변동양상의 키워드는 ‘위험지대(Danger Zone) 진입’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위험지대(Danger Zone)’란 급상승하던 국력상승이 정점에 도달해 있는 중국이 공세적이고 급진적인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은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이 전개되는 가운데, 트럼프 집권 2기에는 미국의 대내외 정책에 매우 큰 변화가 예고되어 있다. 특히 대외정책에서 미국의 중국정책이 트럼프 집권 1기와 바이든 행정부 시기보다 더 큰 폭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는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변화를 첫째, 국제지정학적 접근, 둘째, 미중관계 변화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식별해 보는 분석을 시도한다. 끝으로 미중관계 변화의 국제지정학적 함의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영문 초록

The keyword encapsulating the shifting dynamics of the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at present can be summarized as the “entry into a Danger Zone.” The term “Danger Zone” refers to a phase in which China, having reached the zenith of its rapidly ascending national power, is highly likely to engage in aggressive and radical provocations. Amidst this unfolding scenario, the second term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s anticipated to usher in substantial changes in U.S. domestic and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U.S. policy toward China is expected to undergo a more significant change against China compared to both the first Trump administration and the Biden administration. This paper attempts an analys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through two approaches: first, an international geopolitical perspective, and second, a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U.S.-China relations. Finally, it derives the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se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분석 및 접근법
Ⅲ. 신냉전의 국제지정학과 중국요인
Ⅳ. 트럼프 집권 2기의 대중(對中) 대응 전략과 정책
Ⅴ. 중국의 대응전략과 국내 정치경제적 기반
Ⅵ. 결론: 트럼프 집권 2기 ‘위험지대’에 진입한 동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용(Jiyong Lee). (2025).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변화의 국제지정학적 함의 분석. 신아세아, 32 (2), 5-34

MLA

이지용(Jiyong Lee).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변화의 국제지정학적 함의 분석." 신아세아, 32.2(2025):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