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iability for Transboundary Environmental Harmunde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 A Robust Response to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저자명
- 최유진(Eugene Cheigh)
- 간행물 정보
- 『국제법평론』제71호, 103~11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term “liability,” as used in this dissertation, refers to situations where states have a duty to take reparatory measures to victims for significant transboundary environmental harm that can arise from hazardous activities carried out under their jurisdiction, irrespective of the unlawfulness of those activities under international law, with the ability to channel and allocate that duty to operators, other persons, or entities through their national laws. Even though the normative status of liability remains aspirational, its application is neccesary and feasible to complement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his is due to its strict liability standard, the limited scope of environmental harm it addresses, and its role in ensur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and its ability to suppor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principles and concepts. Focusing on a civil liability approach, which can be imposed on companies contributing to anthropogenic greenhouse gas emissions through their activities, this dissertation therefore suggests several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liability norm as a legal rule within the climate change regime. A civil liability treaty directly addressing climate change-induced environmental harm should find a place on the international agenda, or civil liability elemen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existing or new treaties related to regulating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to harmonize national liability laws across various jurisdictions. States should consider enacting or amending domestic laws on liability for such harm to build good practices and elevate the liability norm to the international level. The Loss and Damage Fund should be operated as a common pool of fund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국제환경법상 초국경 환경피해책임의 이해
	                       
	                          Ⅲ.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피해 책임적용의 필요성 및 가능성
	                       
	                          Ⅳ.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피해책임의 이행 및 발전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스페인]검찰의 구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한 판결에 대한 재판소원–헌법소원의 적법요건으로서 ‘특별한 헌법적 중요성’
- [미국]차별사건에서 다수집단에 속하는 청구인에게 추가적인 입증책임이 부과되는지 여부
- [독일]독일 내 미군기지에 예멘 공격 드론을 배치한 것이 예멘인에 대한 독일의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