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 on the Productivity of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이수완(Suwan Lee) 김영준(Yeongjun Kim) 김창희(Cha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第36卷 第2號, 239~2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업들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경영 환경이 불확실해짐에 따라 비정규직 고용을 일종의 비용-편익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비정규직을 활용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통제할 수 없는 시장 요인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의 관점은 필연적으로 비정규직의 저임금, 불안정한 근무 조건, 사회보험 부족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따라 호텔업, 방송업, 자동차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용 패턴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유통업의 비정규직 비중이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도소매업의고용 유형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분기부터 2020년 1분기까지 9개 분기에 걸쳐 53 개 도소매업체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토빗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고용 유형이 도소매업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소매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활용하기 위한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소매업은 기술적으로 퇴보하고 있으며, 정규직 고용이 소매업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소매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재고관리 자동화, 물류 및 배송 최적화,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 등 기술 혁신 투자가 필요함을 권고한다, 또한 소매업은 인센티브, 자동화 시스템, 성과 기반 계약제, 근무 유연화, 교육 등을 통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s on productivity in the wholesale and retail industries, where the use of non-regular workers is a common cost-saving strategy. Companies increasingly rely on non-regular employees to reduce labor costs and respond flexibly to market uncertainties, such as fluctuating demand and economic crises. However, this practice has led to social issues, including lower wages, unstable employment, and insufficient social protection for non-regular workers. While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other sectors, studies on employment patterns in wholesale and retail remain limited, despite a high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hese industries.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e study analyzed productivity trends among 53 wholesale and retail firms from 2018 to 2020.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ssess how different employment types affect productivity. The results reveal that wholesale and retail industries lag in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that regular employment can negatively impact productivity in retail.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study recommends investing in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inventory automation and logistics optimization. It also suggests balancing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ment through incentives, automation, performance-based contracts,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training, aiming to enhance both productivity and workforce s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공기업논총 제25권 제1호 목차
- 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와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주택가격 간 장·단기 관계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