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Impact of Facility Culture Gestalts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이용수  1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생산관리학회
저자명
박성지(Sungji Park) 김대수(DaeSoo Kim) 나진성(Jin Sung Rha)
간행물 정보
『한국생산관리학회지』第36卷 第2號, 211~2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몇십 년 동안 지속가능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지대한 주목을 받아왔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장 문화의 주요 형태와 다양한 작업장 문화 클러스터가 지속가능경영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lobal Manufacturing Research Group에서 수집한 5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업장 문화, 사회적(특히 직업상 안전보건) 및 환경 관행과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작업장문화의 주요 형태를 파악하였고,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해 각 클러스터의 지속가능성 실천 및 성과에 대한 노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장기 지향성, 협력, 자원 중심의 동기 부여 규범이 환경 및 사회적 지속가능경영에서 중요한 문화적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작업장 문화의 포괄적인 측면을 탐구하면서 문화 클러스터의 주요 형태와 그것이 환경 및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문화적 장벽 또는 촉진 요소들이 지속가능성 전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환경 및 직업 안전보건 시스템, 관행,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작업장 문화를 구축하는데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Over the last few decade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glob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ominant gestalts of facility culture and the effect of different facility culture clusters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performance. In discovering the relationships among facility culture, social (in particula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nd environmental practices and performance, we use the 5th round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Global Manufacturing Research Group. The clustering method is applied to discover dominant gestalts or archetypes of facility culture. Then, we conduct the Mann-Whitney U 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ach cluster’s efforts to sustainability practice and performance. The archetype of long-term orientation, collaboration and motivated resource-centric norm was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cultural characteristics in both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sustainable management. Different from the extant studies on sustainability, our study examined the more comprehensive dimensions of facility culture to reveal dominant gestalts and their impact on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Our empirical findings suggest cultural barriers or catalysts that affect the efficacy of sustainability strategies. The results provide important managerial insight into building the effective facility culture to enhanc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practices and perform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implications
Ⅵ. Conclusion and future research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지(Sungji Park),김대수(DaeSoo Kim),나진성(Jin Sung Rha). (2025).The Impact of Facility Culture Gestalts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6 (2), 211-238

MLA

박성지(Sungji Park),김대수(DaeSoo Kim),나진성(Jin Sung Rha). "The Impact of Facility Culture Gestalts on Sustainability Management: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6.2(2025): 211-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