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ppear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Chinese Horse Helmet and Armour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이현우(Hyunwoo Lee)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102호, 103~1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에서는 상대 만기에 실물 마차가 등장한 이래 말과 전차는 전쟁의 중요 수단이 되었으며, 말을 보호하기 위한 마갑주의 중요성도 점차 증대되었다. 서주 조기 남방에서 청동제 얼굴덮개부가 출현하고, 북방의 관중 왕기지역을 중심으로 금속제 R자형 볼장식판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춘추 조기가 되어 북방에서 양자가 합쳐서 다수의 청동판으로 말의 얼굴 대부분을 감싸는 청동제 마주로 발전한다. 이와 함께 서주 만기부터 전차를 보호, 장식하는 차상갑도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관중 왕기지역과 봉국의 상위계층에 한정적으로 사용된다.춘추 중만기 남과 북에서 칠피 마갑주가 사용되기 시작하며, 전국시기에 들어 남방의 칠피 마갑주는 조합형 마주, 경갑의 구성과 형태, 신갑의 구성에 있어 정형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칠피 마갑주의 개량과 발전, 정형화를 선도한 것은 초(楚)였다. 이들 칠피 마갑주는 각 국의 국군에서 일급대부에 이르는 최상위계층의 무덤과 배장 거마갱에 부장된다. 칠피 마갑주를 입은 말이 끄는 전차는 실전용 전차가 아니라 차진 내에서 전쟁의 동태를 살피고 지휘하는 역할의 전차였을 가능성이 크다. 전국을 통일한 진시황의 능원 배장갱에서도 석제 마갑이 출토되었는데 원래의 마갑을 모방하여 제작한 것이다. 이전 시기에 비해 마갑이 더욱 정교해지는데 소찰의 수도 대폭 증가하고, 흉갑과 고갑이 더해진다. 주동과 마연, 즉 소재와 제작기법의 변화가 소찰의 형태 및 구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한대가 되면 전차의 시대가 저물고 기병의 시대가 도래하는데, 소찰의 철제화, 형태와 구성 변화의 완성을 보여주는 것이 조조 고릉에 부장된 철제 마갑이다. 또한 칠피 마주가 오랜 기간 발전한 금속제 마주도 사용된다. 동한 말 이래의 철제 마갑주는 이후 오호십육국시기 중장기병용 마갑주의 원형이 되며, 전연과 고구려를 거쳐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도 유입된다.
영문 초록
In China, since the appearance of real wagons at relative maturity, horses and chariots have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war, and the importance of the horse helmet and armour to protect horses has gradually increased. Bronze face coverings appear in the south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nd metal R-shaped ball decoration plates begin to be used centering on the capital area of GuanZhong. In the early Spring and Autumn period, both parties in the north combine to develop into a bronze face covering most of the horse's face with a number of bronze plates. Along with this, bronze plates of chariots, which protects and decorates chariots from the late years of the Western Zhou dynasty, also appears. All of them are used only by the upper class of the capital area of GuanZhong and other states. The lacquered leather horse helmet and armour began to be used in the south and north of the mid-autumn period, and into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showed a standardized pattern in the composition and form of the union-type helmet, and the composition of the neck armour, and the composition of the body armour in south. It was Chu state that led to the improvement,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hat. They are buried in the tombs and chariot pit of the highest class of each states. The chariot drawn by the horse with the lacquered leather horse helmet and armour was not used in actual fight, but it was used to inspect the movement of enemy and command within the camp. The stone armor was excavated from the pit of the First Emperor of Qin, which unified the country, and it was made by imitating the original armour.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number of lamellers was greatly increased, and chest armour and bottom armour were added. Casting and grinding bronze technique would have influenced the change of the shape and composition of lamellers. The era of chariots has ended, and the era of cavalry arrives in the Han Dynasty, and it is the iron horse armour that was buried in the tombs of Caocao that shows the completion of the changes in shape and composition. In addition, metal helmet that has developed over a long time from the lacquered leather horse helmet is also used. Iron armour since the end of the Eastern Han dynasty later became the prototype of iron armour of Wuhu and Sixteen States, and it flows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QianYan and Goguryeo.
목차
Ⅰ. 머리말
Ⅱ. 마갑주 출현 前夜의 諸 양상
Ⅲ. 칠피 마갑주의 유행과 지역성
Ⅳ. 칠피 마갑주에서 금속제 마갑주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의료사회사연구 제16집 목차
- 베트남전쟁 말기 사이공 한⋅월의료원의 건립과 그 이면의 ‘열망’
- [서평] 한국 근현대 의료사의 고전적 해부도: 박윤재, 『일제의 의료정책과 조선 지배』(동북아역사재단, 2023)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