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Gyeongok-go : Based on the Medical Classics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종현(Jong-hyun Kim) 백유상(Yousang Baik)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2호, 109~14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Gyeongok-go, one of the most recognized Yang tonifier in Korean Medicine.
Methods : Gyeongok-go related contents were searched in the Medical Classics literature throughout history. Based on findings, cause and mechanism of applicable conditions, along with the formula’s medicinal composition were analyzed. Moreover, the principle behind such properties was analyzed using contemporary texts of herbal formula science.
Results : Gyeongok-go was found to be used to treat situations of Jing(精) deficiency such as aging, along with consecutive deficiencies in Qi(氣), Blood(血), and Fluid and Humorr(津液). In addition, it helps to resolve various heat and dryness patterns caused by Yin deficiency(陰虛). Shengdihuang(生地黃), the sovereign medicinal in the formula has the effect of nurturing Yin and lowering fire(滋陰降火), while Baimi(白蜜) moistens and supplements the Spleen and Lungs. Rensen(人參) tonifies Qi in the Spleen and Lungs, while Fuling(茯苓) communicates Fluid and Humor. The latter two medicinals also help with smooth movement of the large amount of moisteners used in this formula.
Conclusions : Gyeongok-go can treat Jing deficiency, and could be widely applied to conditions such as consumptive disease, coughing, laozhai(勞瘵), wasting thirst, bleeding, etc., that result from damage in the Shen(神), Qi, Fluid and Humor, and Blood that follow Jing damage.
영문 초록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