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차(茶)문화 모임 활동이 중장년 남성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50~60대를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Effect of Tea Culture Meeting Activiti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Men : Focusing on Ages 50~60s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김미경(Mi-kyeong Kim) 김덕환(Duk-hwan Kim)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7집,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50~60대 중장년 남성을 대상으로 차(茶)문화 모임 활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8주간 차문화 모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 자기효능감 증진, 삶의 질 향상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차문화 모임 활동은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긍정적 태도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교류를 활성화하여 중장년층의 고립감 완화와 유대감 형성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차문화 모임이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웰빙을 증진하는 문화적 개입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문화를 기반으로 한 중장년 웰빙 프로그램 개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나아가 차문화 모임 활동이 개인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에서도 효과적인 문화 활동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 culture meeting activities on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aged men in their 50~60s. Participants in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tea culture meeting program for 8 weeks, and evaluated stress reduc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through pre-post survey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ea culture meeting activities promoted emotional stability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relieving the sense of isolation and forming a bond among the middle-aged by activating social exchange. Through this, it was verified that tea culture meeting can be used as cultur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well-being.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d utilizing middle-aged and well-being programs based on tea culture. Furthermore, it intends to seek policy and educational utilization so that tea culture meeting activities can become effective cultural activities at the social level beyond the individu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茶)문화 모임 활동이 중장년 남성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50~60대를 중심으로
- 송대 차문화 雅俗兼備적 심미 연구
-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전통 고형차 명칭의 국문 표기 고찰
- Effects of Camellia sinensis flower extract on skin whitening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 충청남도 차 문화콘텐츠의 6차 산업화 가능성과 발전 방안
- 주권(朱權) 『다보(茶譜)』 은일차문화 특징 연구 - 독철(獨啜) 사유 중심으로
- 일본차문화에서의 고려다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 일간지를 통해 본 밀크티 상품 트렌드 연구
- 차문화유산지 생태적 다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여성 행동 연구 - 중국 복건성 안계현(福建省 安溪县)의 ‘철관음(铁观音)’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