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녹내장 안약을 사용하는 마이봄샘기능장애 환자에 대한 펄스광선조사기의 임상적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Clinical Efficacy of Intense Pulsed Light Therapy in Treat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mong Glaucoma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한광언(Kwang Eon Han) 문상우(Sang Woo Moon) 김수진(Su Jin Kim) 이지은(Ji Eu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5, 215~2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녹내장 안약 사용 후 마이봄샘기능장애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펄스광선조사기(intense pulsed light, IPL)와마이봄샘 압출(meibomian gland expression, MGX)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연구는 18세에서 85세 사이의 녹내장 안약을 사용하는 마이봄샘기능장애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는 3주간격으로 4회의 IPL 치료와 MGX를 받았다. 치료 전과 매회 치료 후에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최대교정시력(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쉬르머 테스트(Schirmer test), 눈물막파괴시간(tear break-up time, TBUT), 각결막형광염색점수(corneal fluorescein staining score, CFS), 눈꺼풀테 이상(lid margin abnormality) 마이봄 배출 점수(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 마이봄 질 점수(meibum quality), 지질층 두께(lipid layer thickness, LLT), 마이봄샘 촬영 점수(meiboscore)를평가하였다.
결과: IPL 및 MGX 치료 후 OSDI, Schirmer test, TBUT, CFS 점수, lid margin abnormality, MGE, meibum quality, LLT, Meiboscore 모두에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결론: 녹내장 안약을 사용하는 마이봄샘기능장애 환자에서 IPL 및 MGX 치료는 안구표면 및 눈꺼풀 이상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IPL 및 MGX 치료가 이러한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보조 치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herapy combined with meibomian gland expression (MGX) in treat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caused by glaucoma eye drop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 patients (aged 18-85 years) who were using glaucoma eye drops and exhibited signs of MGD. Participants underwent four sessions of IPL therapy at 3-week intervals, each followed by MGX. Evaluative measures included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chirmer's test, tear break-up time (TBUT),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score (CFS), lid margin abnormalities,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MGE), meibum quality, lipid layer thickness (LLT), and meiboscore. Thes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across all measured parameters, including OSDI, Schirmer's test, TBUT, CFS, lid margin abnormalities, MGE, meibum quality, LLT, and meiboscore.
Conclusions: IPL therapy combined with MGX was effective in improving ocular surface and eyelid abnormalities among patients with MGD induced by glaucoma eye drops. Our findings support the use of IPL and MGX as safe and effective adjunct therapies for these pati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