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캐비닛 리스트 알고리즘
이용수 0
- 영문명
- Cabinet-List Algorithm based on Mnemonic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김분희(Boon-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2호, 419~42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효율적으로 구성된 모바일 소프트웨어는 높은 교육 효과를 발휘한다. 교육 분야에서 기억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어떤 알고리즘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구성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학생들의 학습 능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이 역사적인 사실보다는 그 일이 일어난 연도라 생각한다. 자주 언급되지 않는 수치 정보일수록 기억에 남지 않을 확률이 높다.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캐비닛 리스트 알고리즘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연도 데이터 기억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환경에 표시된 텍스트 필드에 입력 시의 실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이러한 단순한 수정 과정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환경에서 작동하는 실험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캐비닛 리스트 데이터 구조를 적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평가한다.
영문 초록
Efficient configured mobile software exerts high educational effectiveness. Memory methods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effect can vary depending on which algorithm is used to organize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ink about way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arning efficiency of students. I think what most students find difficult is the year when it happened rather than the historical fact. The more often-not mentioned numerical information is, the more likely it will not remain in memory. In a previous study of a cabinet list algorithm paper based on memory methods in a mobile environment, an algorithm was constructed to check the year data memory rate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and, in the process, find and correct input mistakes in the text field displayed in the user's smartphone display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tend to supplement this simple revision process of existing studies. We develop an experimental application that operates in a smartphone environment and evaluate the algorithm by applying a cabinet list data structure.
목차
Ⅰ. 서 론
Ⅱ. 관련연구
Ⅲ. 제안 시스템
IV. 실험 결과
V. 결론 및 향후연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세대 배전자동화시스템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기반 멀티모달 시스템을 활용한 지능형 미술 전시 안내: 예술 감상의 패러다임 전환
- 광대역 저지대역 특성을 갖는 개방형 종단을 갖는 연결된 결합선로 구조의 해석
- 경량화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고해상도 매크로 이미지 분류 개선
- 슬리피지를 고려한 강화학습 기반의 KOSPI200 선물 자동 매매 모델 연구
-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뉴런 및 TinyML 성능 검증
- 철도신호통신 시스템의 CBM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국내외 운영사례 연구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2호 목차
- 회전자 형상에 따른 워터 펌프용 페라이트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분석
- 모바일 환경에서 기억법 기반 캐비닛 리스트 알고리즘
-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고정밀 고해상도 센서 신호 컨디셔닝 시스템 개발
- 위성 원격 탐사를 이용한 스키장의 자외선 반사량 측정
- ESP32-S2 기반 저전력 IoT 디바이스에서의 대칭·공개키 암호 연산 성능 평가
- 고추 씨앗 발아 분류를 위한 매크로 이미지 활용 경량 모델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을 위한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디지털리터러시 교재 개발 사례연구
- 심리적 권한이 정보보안 피로감과 준수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안 가시성의 조절 효과
- 다차원 생체 신호 데이터 수집을 통한 감성 추론 SW 개발에 대한 연구
- 심해 생물 연구를 위한 서식 환경 압력 유지형 고압 채수 장비 개발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복합화력 드럼수위 예측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드론 영상획득 및 Kalman Filter IoU와 Optical Flow를 적용한 OpenCV 기반 실시간 종자 검출 및 크기 측정 시스템
- 웹툰 제작환경 효율성 향상을 위한 3D웹툰 배경 저작도구 개발
- 재가장애노인의 범불안장애(GAD)치료를 위한 AI챗봇과 재활운동의 융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BEST
- AI 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의도 결정요인 탐색
-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그리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NEW
- 차세대 배전자동화시스템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 생성형 AI 기반 멀티모달 시스템을 활용한 지능형 미술 전시 안내: 예술 감상의 패러다임 전환
- 광대역 저지대역 특성을 갖는 개방형 종단을 갖는 연결된 결합선로 구조의 해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