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바운드 글로벌 스타트업의 한국시장 진출 동기와 성과 : 사회적, 경제적, 법적 요인의 영향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Motivations and Performance of Inbound Global Startups Entering the Korean Market: The Impact of Social, Economic, and Legal Factors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민정(MinJung Kim) 전화성(Hwaseong Jeon) 남정민(JungMin Nam)
- 간행물 정보
- 『Entrepreneurship&ESG 연구』제5권 제1호, 75~10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스타트업의 한국 시장 진출 동기와 실제 성과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비즈니스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경제적·법적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외국계 스타트업이 한국을 전략적 진입지로 선택하는 구체적 이유와 이들이 직면하는 제도적·문화적 장벽을 파악함으로써,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설문 및 사례 분석 결과,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시장의 기회, 높은 기술 인프라, 우수한 인적 자원 접근성 등이 주요 진입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제품 및 서비스의 현지화 어려움, 복잡한 행정 절차, 언어·문화적 장벽은 주요 도전 과제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은 교육, 네트워킹, 재정 지원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초기 시장 적응과 국내 파트너십 구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글로벌 스타트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산업별·성장 단계별 차별화된 지원 체계, 법·제도적 리스크 완화를 위한 규제 개선, 로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멘토링 및 연계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한국 시장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략적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외국인 창업자의 정착을 지원하는 다문화 환경 조성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글로벌 스타트업의 국내 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설계 방향과 실행 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motivations and actual outcomes of global startups entering the Korean market, while identifying the social, economic, and legal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seeks to uncover the specific reasons why foreign startups select Korea as a strategic entry point,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barriers they face,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revitalize the global startup ecosystem.
Based on survey and case analysis results, the main factors attracting global startups to Korea include opportunities in fast-growing industrial sectors, advance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access to highly skilled human resourc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difficulties in localizing products and services,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regulatory compliance, as well as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were identified as major obstacles.
Meanwhile, domestic startup support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ffering benefits in education, networking, and financial assistance—especially in helping startups adapt to the local market and build initial partnership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global startups in Korea, more refined and tailored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hese include differentiated support systems by industry and growth stage, regulatory easing to minimize legal risks, and the introduction of mentoring and follow-up programs to build long-term local networks.
Furthermore, creating a multicultural environment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foreign entrepreneurs, along with strategic positioning of Korea as a testbed for global growth, should be promoted in parall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s practical policy direc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entry and sustainable growth of global startups in the Korean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인바운드 글로벌 스타트업의 한국시장 진출 동기와 성과 : 사회적, 경제적, 법적 요인의 영향 연구
- ESG 경영이 기업의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I-Led ESG, ESG-Led AI: A Strategic Convergence for Sustainable Transform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