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유 섭취를 통한 영아의 과불화화합물 노출량에 관한 문헌고찰(2008~2024)
이용수 221
- 영문명
- A Review on Exposure to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via Breastfeeding in Infants (2008~2024)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문나래(Nalae Moon) 김주희(Ju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51권 제1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 that accumulate in mothers through daily exposure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newborns via breastfeeding, potentially resulting in health issues. However, existing
studies on PFAS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hrough breast milk exhibit significant heterogeneity, hindering
systematic comparison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n PFAS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and exposure and identify limitations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Using a scoping review methodology,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Google Scholar and
PubMed that analyzed PFOA, PFOS, PFHxS, and PFNA concentrations in human breast milk. The analyzed
variables included target PFAS substances, number of breast milk samples, study countries, limits of detection
(LOD) or quantification (LOQ), detection rates, timing of sample collection, analytical methods, and infant
PFAS exposure levels.
Results: PFAS concentrations in breast milk (PFOA, PFOS, PFHxS, PFNA) varied depending on sample
collection timing, geographical region, milk maturity, maternal characteristics, analytical methods, and
detection limits, highlighting significant heterogeneity among studies. Oral exposure to PFAS through
breastfeeding in recent studies exceeded the tolerable weekly intake (TWI), indicating potential risks to
infants.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to accurately assess PFAS
contamination and exposure in breast milk and facilitate quantitative comparisons between studies.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olicy interventions to reduce maternal exposure to PFAS,
ensuring better health outcomes for infants and mothers alike.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감사의 글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