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류 콘텐츠와 하이퍼리얼리티: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90
- 영문명
- Hallyu content and hyperreality: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f simulation
- 발행기관
- 글로벌응용인문학회
- 저자명
- 유성렬(Seongryeol Ryu)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제3권 1호, 123~1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과 하이퍼리얼리티 이론을 바탕으로 한류 콘텐츠가 글로벌시장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소비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K-팝과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사례로 선정하여, 이들이 단순한 문화적 재현을 넘어 독립적인 하이퍼리얼리티를 창조하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K-팝 아이돌은 음악적 재능뿐만 아니라 이상화된 페르소나를 통해 소비되며, 이는 팬덤 활동과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확장된다. 팬들은 소셜 미디어와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통해 아이돌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이를 통해 K-팝은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선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오징어 게임』은 한국 사회의 특정 문제를 반영하면서도 이를 과장된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글로벌 관객들에게 보편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특히, 드라마는 한국 전통게임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활용하면서도 경제적 불평등과 같은 현대사회의 보편적인 주제를 다룸으로써 전 세계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연구 결과, 한류 콘텐츠는 단순히 한국 문화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화된 이미지와 기호를 통해 독립적인 실재를 창조하며 글로벌 팬덤과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플랫폼은 한류 콘텐츠의 확산과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유튜브, 트위터, 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은 글로벌 팬덤 형성을 촉진하고 팬들이 콘텐츠의 서사와 이미지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팬덤 활동은 한류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팬아트, 리액션 영상, 커버 댄스와 같은 UCC는 한류 콘텐츠를 역동적인 문화 현상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과 팬덤의 상호작용은 한류 콘텐츠가 단순한 문화 상품을 넘어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정체성과 감정적 연결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가 경제적 및 문화적 측면에서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경제적으로 한류 콘텐츠는 한국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관광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오징어 게임』 촬영지는 관광 명소로 부상했으며, 관련 상품 판매도 급증하였다. 문화적으로 한류 콘텐츠는 한국어 학습 열풍을 일으키고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며 국가 간 상호 이해와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 콘텐츠가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학문적 기여뿐만 아니라 정책적·산업적 함의도 제시한다. 디지털 플랫폼과 협력하여 한류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팬덤 활동을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방안도 제안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별 수용 차이와 디지털 알고리즘이 한류 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하이퍼리얼리티가 가지는 함의를 분석하는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global success of Hallyu content, particularly K-pop and Netflix's Squid Game, through Jean Baudrillard’s concepts of simulation and hyperreality.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case studies, social media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global fans—the research explores how Hallyu content transcends traditional cultural representation to create independent hyperrealities. K-pop idols and Squid Game characters are consumed not as reflections of reality but as idealized constructs shaped by fandom activities and digital platforms. User-generated content (UCC), such as fan art and reaction videos, reinforces these hyperrealities, transforming Hallyu into dynamic cultural phenomena. Cultural hybridity, blending traditional Korean elements with global aesthetics, enhances its global appeal.
Digital platforms like YouTube, Twitter, and Netflix amplify Hallyu's reach, fostering global fan communities that co-create and expand its narratives. Economically, Hallyu boosts Korea’s soft power,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products, services, and tourism. Culturally, it promotes global ex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The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on regional audience differences, digital algorithms' influence on consumption, and hyperreality's broader implications in modern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를 이용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과 학습분석의 역할: 인공지능과 인간 협력을 통한 교육생태계 변화연구
- 제임스 조이스 문학의 다층적 해석: 결핍, 열린 결말, 그리고 마조히즘의 미학
- 여행 유튜브 콘텐츠 속성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행 유튜브 콘텐츠 시청자를 대상으로
- 한류 콘텐츠와 하이퍼리얼리티: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조직후원인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 상호작용: 문화적 특성과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포스트휴먼시대 ‘도덕적 향상’이 갖는 함의: 영화 『가타카』(GATTACA) 분석
- 맥락적 문법 학습: 시제와 의문사 사용에 대한 이야기책의 영향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3권 1호 목차
- 뮤지컬을 통한 성경 이야기의 재해석과 신학적 소통
- Exploring the Interplay of Cognitive Abilities and Emotional Factors in Language Learni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