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for Small Christi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우(Hyunwoo Kim) 최보라(Bora Choi)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117~1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이 대학의 건학 이념과 교육 목표, 그리고 미래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적절히 운영되고 있는지 검토하고, 이를 반영하여 핵심역량 기반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양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대학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생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델파이 조사, 그리고 재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 모형을 설계하고, 교양교육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 재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교양교육의 실제 운영 현황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응답 결과를 기술적 분석 및 통계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J 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핵심역량과 학문 분야 간 균형을 갖춘 모형으로 평가되었으나, 일부 영역에서 타당성이 부족한 과목들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과 공감 협력 역량 강화를 위해 교과목의 재구성과 보완이 요구되며,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과목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J 대학교의 교양교육이 핵심역량 기반으로 더욱 체계화되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고, 이를 위해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새로운 교수법 도입과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 운영, 지속적인 환류 시스템을 통해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Purpose of Study: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J University is being appropriately operated based on the university's founding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nd future core competencies. Additionally, it seeks to explore ways to design a systematic and effectiv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Through this, the study endeavors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student competencie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and student survey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was designed, and the validity and relevance of the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ver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targeting a panel of general education experts. Additionally, a student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statistical method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J University is evaluated as a model that generally achieves a balance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certain areas were found to include courses lacking sufficient validity. Consequently, the restructuring and enhancement of cours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self-directed learning and empathetic collaboration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courses that can stimulate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has been identified as necessar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J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be further systematized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To achieve this,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new teaching methods that reflect current trends, integrate extracurricular programs with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a continuous feedback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교회를 떠난 청년 자녀를 둔 부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 십계명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 정립 :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 영적 행복을 증진하는 교목실의 역할과 활동에 관한 연구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전래동화 개발 경험 탐구
- 대학 음악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 효과 탐색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챗봇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