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이용수 15
- 영문명
- Exploring the Role of the Church in Addressing the Pain of Loss and the Challenges of Mourning through an Analysis of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혜진(Hyejin Hwang) 김정희(J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상실과 애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영화를 분석하고 사랑하는 대상을 상실한 인물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건강한 애도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이 과정에서 교회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은 일상의 파국을 경유해 주체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항시적으로 주체의 삶을 위협하는 상실과 그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으로서 애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별히 영화 <아들> 분석을 통해 위의 상실과 애도의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개인적 차원의 애도 과정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가해자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복수 대신 화해와 용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는 영화의 서사를 통해 이 영화처럼 특수한 사례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상실의 고통으로 인해 일상의 파국을 맞이하는 상처받은 존재에게 교회가 애도의 동반자이자 길잡이로 다가가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애도 현장으로서의 교회가 상실로 인한 고통스러운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장이 되어서 슬픔을 함께 나누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상실 이전의 상태로 회귀할 수 없다는 절망에 빠진 존재에게 신앙적인 답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교회의 역할이 실천될 때, 교회는 하나님께 일방적으로 기복하는 공간이 아니라 성도들의 아픔을 헤아리고 보살피는 사회적 지지의 네트워크를 결성하고 운영하는 실천적 장으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film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f loss and mourning, examining the pain and challenges of grieving experienced by individuals who have lost loved ones. By doing so, it seeks to emphasize the need for healthy mourning and highlights the role of the church in this proces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he loss of a loved one disrupts daily life, threatening the well-being of the bereaved. Accordingly,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mourning as a process of overcoming the ever-present threat of loss and the accompanying suffering. In particular,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lm The Son is conducted to examine the process of loss and mourning. Despite the challenges of personal grief, the narrative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instead of revenge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with offenders. Through this film’s unique case, the study considers how the church might approach wounded individuals facing daily crises due to various forms of loss, serving as a companion and guide in their journey of mourning.
Results/Conclusions: As a setting for mourning, the church should become a space where the painful emotions associated with loss are acknowledged and expressed, enabling the sharing of grief. Ultimately, the church should provide a spiritual response to those in despair who cannot return to their pre-loss state. When the church fulfills this role, it will not serve merely as a one-directional place of petition to God but as a practical setting for cultivating and maintaining a social support network that empathizes with and tends to the suffering of its memb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상실과 애도에 대한 이해
Ⅲ. <아들>에 나타난 상실과 애도의 서사
Ⅳ. 애도의 현장으로서의 교회의 역할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교회를 떠난 청년 자녀를 둔 부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 십계명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 정립 :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 영적 행복을 증진하는 교목실의 역할과 활동에 관한 연구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전래동화 개발 경험 탐구
- 대학 음악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 효과 탐색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챗봇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