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陸績의 문학과 현대콘텐츠로의 수용 양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spects of Inflow of Lu-Ji into Literary Works andModern Contents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천대진(Dae-Jin Chun)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74집,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陸績은 ‘懷橘遺親’의 효자 이야기로 널리 알려진 동한 시대의 역사인물이다. 육적은 이후 여러 문학작품의 소재가 되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그의 청렴을 추앙하는 ‘廉石文化’가 그의 부임지였던 중국 廣西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기도 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그를 주제로 한 드라마가 제작되면서 그간 크게 주목받지 못한 청관으로서의 면모가 빛을 보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육적의 인물 형상을 효자·책사·청관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중에서도 그간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청관으로서의 면모에 대해 보다 면밀히 들여다보았다. 이를 통해 대중의 기억 속에서는 늘 효자의 대명사로만 알려졌던 육적의 청관으로서의 면모를 새롭게 발굴할 수 있었고, 이는 육적이라는 인물에 대한 재조명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역사인물을 재평가한다는 것은 인류의 의식과 기록이 가지는 한계성을 보완함으로써 자칫 잘못 끼워 맞춰질 수도 있었던 기억의 파편들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유의미한 작업이며, 보다 완정한 의식과 기록의 틀을 후세에게 전하기 위한 사명감이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은 때로 우리에게 충격과 반전으로 다가오기도 하고, 때로 새로운 진실에 대한 감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육적에 대한 이번 연구는 우리가 그간 놓쳤던 역사인물의 재평가이자 새로운 인식의 발굴이라 할 만하다.
영문 초록
‘Lu-Ji’ is a historical figure of the Eastern Han Dynasty who is widely known for the story of the filial son of ‘懷橘遺親’. He later became the subject of some literary works, and now ‘廉石文化’, which praises his integrity, was formed around the Guang-Xi region of China. In modern times, as a drama about him was produced, his aspects as an integrity official, which ha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were brought to light.
In this paper, we comprehensively looked at the character of Lu-Ji from three aspects: filial son, strategist, and integrity official, and looked more closely at his aspect as an integrity official, which had not been highlighted so far.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newly discover Lu-Ji’s appearance as an integrity official, who had always been known only as a filial son in the public memory, and this could lead to a re-examination of the character of Lu-Ji.
Reassessing historical figures is a meaningful task of returning fragments of memory that could have been misplaced to their original places by compensating for the limitations of human consciousness and records. It is a mission to convey to future generations a more complete framework of consciousness and records. It is also a necessary work. These works sometimes come as shocks and reversals to us, and sometimes they lead to being moved about finding new truths. In that sense, this study on Lu-Ji can be a re-evaluation of historical figures that we have missed and the discovery of new perceptions.
목차
1. 들어가며
2. 正史의기록《三國志》<吳書·陸績傳>
3. 문학작품속의陸績
4. 현대콘텐츠및수용양상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