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공립 중등교사의 IB 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새로운 교사정체성을 입다
이용수 140
- 영문명
-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into a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IB Teacher Training: Embracing a New Teacher Ident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경은(Kyung-eun Y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863~8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공립 중등교사로서 연수자가 겪은 IB 연수 경험을 자전적으로 탐구하여 연구자의 실제적·실천적 지식의 변화 양상과 새로운 정체성 확립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인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경험을 탐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023년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한 ‘제1기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국제공인 전문강사 연수’ 관련 자료 및 교사로서의 지식과 정체성이 반영된 과거의 일기 및 글이었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이야기화된 경험(storied experience)을 장소(삶의 경험이 형성되는 맥락), 시간(뒤로, 앞으로), 사회성(안으로, 밖으로)을 고려하여 탐구하였다. 또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서 제안한 이야기 개념을 활용하여 연구자가 살아간 다중적인 삶의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IB 연수를 통하여 학교와 교사, 수업과 평가, 학습자와 배움 등에 대한 연구자의 개인적 실제적 지식(PPK)이 형성되고 변화한 과정에 대한 자기 인식이 깊어졌으며, 교육내용·방법·평가 면에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찾게 되었고, ‘비밀이야기(secret stories)’와 ‘포장이야기(cover stories)’를 살아가며 분열되었던 교사 정체성이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IB 교육과정 둘 다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공립학교 교사’라는 새로운 교사정체성으로 변화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의 지식과 정체성의 변화 과정의 의미를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가 IB 관련 정책 결정, 교사연수, 교사정체성 연구 등에 구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utobiographically the IB training experiences of a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resear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PPK)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professional identity.
Methods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was employe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materials related to the ‘1st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Certified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organiz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23, as well as past diaries and writings that reflected the teacher's knowledge and identity. These storied experiences were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place (the context in which life experiences are shaped), time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and sociality (internal and external dimensions). Additionall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ultiple life stories they had lived using narrative concepts proposed in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Results Through the IB training, the researcher developed a deeper self-awareness of the process by which thei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concerning schools, teachers, instruction, assessment, learners, and learning was formed and transformed. This led to identifying directions for advancement in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Furthermore, the previously fragmented teacher identity, shaped by living ‘secret stories’ and ‘cover stories,’ evolved into a new professional identity as a public school teacher who appl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bo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B curriculum in educational practice.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of change in teacher knowledge and identity based on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legitimacy.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concrete and field-relevant insights for IB-related policy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studies on teacher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IB 연수를 통해 새로운 교사정체성을 입다
V. 연수 - 새로운 정체성이 피어나는 3차원적 공간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허베이성 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존중감이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국어 수업 실행 연구: 놀이 중심 교육법을 중심으로
- 중·고등학교 축구 팀 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적응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 중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웰니스의 행복 개념에서 바라본 영유아의 수면과 영양의 의미: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통한 지속발전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상담사의 사회정의 옹호 상담 경험 연구
- 공손성의 원리에 의한 높임 표현 교육 연구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의식으로 조절된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심리적 소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공감역량, 임종간호 자기효능감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역량 분석 연구: 보건·복지 교과(군)을 중심으로
-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 아동기 및 청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재한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호 목차
- 청소년의 교사 및 친구관계와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과학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들의 창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체험 교육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
- 중·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사용 양상 연구: ‘까지’와 ‘만’이 포함된 조사 결합을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 지원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실행 비교 분석
- 머신러닝 기반 지방대학 중도 탈락률 예측 모형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영향 요인 탐색: 2017-2023년 대학 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 중장년 재직자가 인식한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 실제 맥락에서의 학습전이에 관한 민속방법론적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 부모와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잠재집단 탐색 및 영향 요인 검증: 자기조절학습 차이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어 관념적 은유의 종류와 특징: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법적 은유 이론에 기반하여
- 유아 사회정서발달 지원과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현황
- 농업전문직 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업적용도를 매개로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엔데믹 국면에서 20학번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 수식과 그래프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수열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미지 분석
- 한 공립 중등교사의 IB 연수 참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새로운 교사정체성을 입다
- 학습지원 밀착 멘티-멘토 만남 프로그램을 경험한 두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
-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국내 연구 동향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영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현직 전문상담교사의 업무수행 경험에 기반한 학교현장실습 개선방향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유아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및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 Impact of Instructor Support on Academic Burnout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 학교교육 낙오자에서 대학교수가 된 한 중국인 학자의 내러티브 연구
- Overexcitability, Grit, and Creative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rt Subject Preference
- 대학 AI 활용 교육 연구동향
- 상담심리 전공생의 비교과 경험: G대학교를 중심으로
- 대학(원)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섭식통제상실에 미치는 영향: 외모 거부민감성과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의 경험 이야기
- 유아교육과 대학생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교육 요구도
- 그림책 중심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영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 이야기치료 기반 학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