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altionshop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Workplace bullying, Heal&well-being perception and Quality of work life on Hospital nurs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귀임(Kwuy Im Ju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7호, 65~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문화, 사회적 지지, 직장 내 괴롭힘, 주관적 건강 및 안녕 및 직장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5곳에서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간호사 32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1월 12일부터 2022년 3월 1일까지였으며, 자기보고식 온라인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을 사용하였고 제 특성에 따른 직장 삶의 질 정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Scheffe'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조직문화, 사회적 지지, 직장 내 괴롭힘, 주관적 건강 및 안녕 및 직장 삶의 질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결과 : 병원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3.46±0.31점(6점 만점), 조직문화 2.99±0.34점(5점 만점), 사회적 지지 3.43±0.42점(5점 만점), 직장 내 괴롭힘 1.70±0.36점(4점 만점), 주관적건강과 안녕 3.09±0.38점(5점 만점)이었다. 직장 삶의 질은 조직문화(r=.298, p<.001), 사회적 지지(r=.367,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직장 내 괴롭힘(r=-.186,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병원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은 조직문화, 사회적 지지, 직장 내 괴롭힘과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긍정적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며, 직장 내 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정책 및 관리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and rel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Workplace bullying, Health & well-being perception and Quality of work life in hospital nurses. Methods: The research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320 students who are nurses in general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12, 2021 to March 1, 2022,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onlin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4.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u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work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t-test and ANOVA, and post-tested with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perform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Workplace bullying, Health & well-being perception and Quality of work life. Results: Organizational culture was 2.99±0.34 points out of 5 points, and Social support was 3.43±0.42 points out of 5 points, Workplace bullying was 1.70±0.36 points out of 4 points, Health & well-being perception was 3.09±0.38 points out of 5 points and Quality of work life was 3.46±0.31 points out of 6 points. Quality of work life showed Organizational culture (r=.298, p<.001), Social support (r=. 367, p<.001)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orkplace bullying (r=-.186, p=.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quality of work life for hospital nurses has been found to be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support, and workplace bully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polic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quality of work life for nurses by foster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and reducing workplace bully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습형 학교 안전교육을 위한 학교 안전교육 현황 및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분석
- 요양병원간호사가 경험한 환자안전사고,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연구
- 통제요인들이 아동·청소년기 범죄피해 궤적에 미치는 영향
- 범죄피해평가보고서에 나타난 학교폭력 피해 발생 및 재피해 보호요인에 대한 반복적 비교분석
- 성적 괴롭힘 피해연예인을 위한 인권행동의사에 정서적 성숙이 미치는 영향과 신체매력 후광효과인식 및 인권인식의 매개효과 검증
-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조사 - K 대학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접촉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분석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 사회적기업가정신: 조직의 경쟁우위와 지속가능성의 주요 영향요인
- 병원간호사의 조직문화, 사회적 지지, 직장 내 괴롭힘, 주관적 건강과 안녕 및 직장 삶의 질간의 관계
- 자율차-일반차 혼재상황에서 돌발상황 대응 교통운영전략 USE CASE 시나리오 효과분석
- 전문소생술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실재감,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소생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취약계층 안전망 구축을 위한 ICT 기반 인공지능 돌봄서비스 사용자중심 이용현황분석 및 서비스 고도화 정책 방안 제시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학습자기효능감, 시험불안이 핵심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성인간호학회지
- 간호행정학회지
- 안전문화연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안전문화연구
- 임상간호 연구
- 한국간호과학회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성인간호학회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한국간호과학회지
- 간호행정학회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안전문화연구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질적연구
- 근관절건강학회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사회융합연구
- 간호행정학회지
-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 Journal of Medical Systems
- Nursing Economics
- Revista Avalia o Psicol gica
-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Clinical Nursing
- Journal of Nursing
- BMC Nurs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 Industrial Health
-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 Health Services Research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Journal of Primary Care & Community Health
-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 Abasyn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s
- Medicina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 British Medical Journal
- Equal Opportunities International
-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 Nursing Economics
- Nursing Management-UK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증 여성장애인의 고용차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노동시장에서의 이중차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영향요인과 잠재프로파일별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차이 검증
- 고용의무사업체 장애인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