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레시아(진실 말하기)와 요한의 예수
이용수 27
- 영문명
- Parrhesia and Johannine Jesu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선정(Seo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207집(2024년 겨울호), 63~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푸코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재발견한 파레시아(진실 말하기)라는 렌즈를 통하여 파레시아스테스로서의 요한복음의 예수를 조명해 보았다. 푸코는 파레시아를 통해서 자기 돌봄의 삶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폭력적 권력에 길들여지지 않는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다른 삶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진실 말하기를 수행한 예수의 몸은 권력의 힘으로 십자가 위에서 처절하게 부서진다. 그리고 그 부서진 예수의 몸은 그 폭력적 파괴를 감당했던 진실의 힘, 진리의 힘으로 다른 삶을 생성한다. 요한의 예수는 새로운 몸, 부활한 몸으로 영원한 생명으로 나아간다. 요한의 예수는 우리가 진리와 하나 될 때 어떤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Jesus in the Gospel of John as a parrēsiastēs through the lens of parrhesia (truth-telling), rediscovered by Michel Foucault in ancient Greek philosophy. Foucault suggested that through parrhesia, one can realize a life of self-care and propose the possibility of a different life as a free subject not tamed by violent power. The body of Johannine Jesus, who performed truth telling, is brutally broken on the cross by the power of authority. And the broken body of Jesus generates a different life through the power of truth that endured its violent destruction. Johannine Jesus moves towards eternal life with a new, resurrected body. Johannine Jesus showed what kind of subject we can become when we unite with the truth.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푸코의 파레시아와 요한복음 읽기
Ⅲ. 예수의 진실 말하기 ― 알레세이아와 파레시아
Ⅳ. 부서진 몸의 항거 ― 다른 삶, 부활하는 몸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파레시아(진실 말하기)와 요한의 예수
- 이타성을 재현하는 신비 ― 사도행전의 ‘ὅραμα’ 사례에 대한 신경인문학적 분석
- 가난한 자를 위한 예언자의 저항과 연대 ― 시편 14편을 중심으로
- 팬데믹 포스트휴머니즘 ― 뉴 노멀의 종교와 과학
- ‘정치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응으로서의 “새로운 정치신학” 재고(再考)
- 공감의 두 얼굴, 그리고 종교 ― 공감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성찰과 종교의 역할
- 그리스-로마 전기 장르로 다시 읽는 마가복음 11:12-25 ― 성전 청결인가, 성전 종결인가?
- 신학사상 207집(2024년 겨울호) 목차
- 도스토옙스키의 성서관을 통한 요한복음 읽기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밀알 하나’(요 12:24)의 의미를 중심으로
- 철학과 신학, 그리고 신경과학에서의 양심
- 레비나스의 신 담론과 이타성의 윤리학
- 항공우주 기술과 우주 윤리
- 인류세의 종교철학 ― ‘신과 인간, 그리고 자연의 죽음 이후’를 상상하기
- 요한계시록의 네 가지 주요 해석법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 존 D. 카푸토의 포스트모던 해석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대학과 선교
- 신학사상
- 신학사상
- 문화와 융합
- 신학사상
- Michel Foucault and Theology: The Politics of Religious Experience
-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 The Resurrection
- Biblical Interpretation
- The Evangelical Quarterly
- FRIENDSHIP, FLATTERY, AND FRANKNESS OF SPEECH: Studies on Friendship in the New Testament World
- Restoration Quarterly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Returning to the God-Talk after Atheism: Levinas and Bonhoeffer
- A Study on Kim Chai Choon’s Understanding of Religion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43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