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제 왕실의 혼인 형태와 왕비·왕자의 지위 변화
이용수 99
- 영문명
- Changes in the Marriage Form of Baekje Royal Family and the Status of Queen and Princ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최유림(Yoo-lim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8집, 157~18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한성기를 중심으로 백제 왕실의 이·동성혼의 혼인 유형을 살피고, 이와 관련하여 왕비·왕자의 지위 변화를 검토했다. 백제 왕실은 일부 귀족들과 장기간 혼인을 맺었다. 백제 왕실은 백제 사회의 결속을 위한 목적이 있었으며, 귀족들은 여기에 동참함으로써 왕비를 배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다. 백제 왕실은 다른 나라와도 혼인을 맺었다. 다른 나라와의 혼인은 외교적 목적이 우선시되었기 때문에, 백제 귀족과의 혼인에 비해 제사 등의 의무가 크지 않았다. 백제는 개로왕 대 한 차례 동성혼을 행한 사례가 나타난다. 이는 개로왕의 왕권 강화의 일환으로 이해해야 하며, 백제 왕실은 일반적으로 이성혼을 선호했다. 이에 따라 왕비 사이에 지위 차가 나타나게 되었다. 한성기 중후반 后와 夫人이 구별되기 시작했다. 왕비 간의 서열은 그녀들에게서 태어난 자녀의 지위에도 영향을 주어, 嫡과 庶의 구별이 생겼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divide the marriage type of the Baekje royal family focusing on Hanseong Period. And in this regard, the change in the status of queens and princes was reviewed. The Baekje royal family had long-term marriages with some aristocrats. The Baekje royal family had the purpose of uniting Baekje society and the aristocrats were given the right to produce a queens by joining in. The Baekje royal family also married other countries. Marriage with other countries prioritized diplomatic purposes because compared to marriage to Baekje aristocrats, the obligation to hold ancestral rites was not greater. King Gaero had a same surname marrige once. This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strengthening of King Gaero's royal authority. Baekje's royal family generally preferred the opposite surname marriage.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status between the queens. 后 and 夫人 began to be distinguished in the mid-to-late Hanseong Period. The status between the queens also influenced the status of their childre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嫡 and 庶 was formed.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왕실의 혼인 형태와 그 의미
Ⅲ. 왕비·왕자의 지위 변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대사탐구 제48집 목차
- 4~6세기 고구려에 전래된 유학의 성격과 그 영향
- 在唐時期 崔致遠과 襄陽 李相公
- 백제 초기 왕위계승과 정변
- 백제 횡혈묘의 특징과 존재의미
- 表文으로 본 백제-남북조 관계와 ‘충실한 번국’ 표방
- 대가야의 南齊 교섭과 ‘本國王’호의 의의
- 백제 무왕대 대왜관계와 불교 - 승려 관륵을 중심으로
- 백제 왕실의 혼인 형태와 왕비·왕자의 지위 변화
- 東大寺를 통해 본 고대 일본 속의백제계 渡倭人 - 百濟王 敬福의 황금 헌상을 중심으로
- 백제지역 출토 중국 도자의 양상과 특징
- 영산강 상류지역의 정치체 형성과 백제 군현
- 唐代 瑞獸葡萄紋鏡의 제작시기와 韓·日로의 전래양상 검토 - 당대 기년명 묘 출토 서수포도문경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지식산업사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일조각
- 지식산업사
- 사계절
- 혜안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동과서
- 세창출판사
- 吉川弘文館
- 忠南史學
- 서울대학교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族과 文化
- 百濟學報
- 강좌 한국 고대사 제10권-고대사 연구의 변경
- 木簡과 文字
- 백제문화
- 啓明史學
- 慶熙史學
- 先史와 古代
- 歷史學硏究
- 百濟學報
- 百濟學報
- 歷史敎育
- 百濟文化
- 단국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史學硏究
- 일본학
- 歷史學報
- 한국사연구
- 木簡과 文字
- 學術誌
- 서강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中國古中世史硏究
- 여성과 역사
- 동국사학
-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학위논문
- 中國古中世史硏究
- 여성과 역사
- 한일관계사연구
- 東洋史硏究
- 山東社會科學
- 中國史硏究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