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랍어 기원의 독일어 단어 - 독일어로의 직접 차용과 독일어로의 간접 차용
이용수 10
- 영문명
- Deutsche Wörter arabischer Herkunft - 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und In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 발행기관
- 한국독일사학회
- 저자명
- 김형민(Hyeong Min Kim) 이재호(Zae Ho Lie)
- 간행물 정보
- 『독일연구』Vol.55, 145~17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두덴 출판사가 2020년에 펴낸 『외래어 사전』에 수록된 361개의 아랍어 차용어이다. 독일어의 아랍어 차용어는 세 가지 범주화 기준, 즉 차용 경로, 차용 시기, 의미 영역에 따라 달리 유형화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연구의 촛점은 ‘차용 경로’에 따른 아랍어 차용어의 범주화이다. 독일어의 아랍어 차용어는 차용 경로에 따라 ‘독일어로의 직접 차용’과 ‘독일어로의 간접 차용’으로 세분화한다. ‘독일어로의 직접 차용’은 아랍어 단어가 중개 언어를 거치지 않고 독일어의 어휘 체계로 직접 수용되어 차용된 경우를 말한다. 한편 ‘독일어로의 간접 차용’은 아랍어 단어가 1개 이상의 중개 언어를 거쳐 독일어의 어휘 체계로 수용되어 차용된 경우를 가리킨다. ‘독일어로의 직접 차용’에 의한 아랍어 차용어의 수는 현대에 들어와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독일어의 직접 아랍어 차용어는 문화 특수성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일어의 간접 아랍어 차용어는 아랍어로부터 프랑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튀르키예어, 포르투갈어, 영어, 네덜란드어 등의 1개 이상의 중개 언어를 거쳐 독일어의 어휘 체계로 수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문 초록
Der Forschungsgegenstand des vorliegenden Aufsatzes ist 361 deutsche Lehnwörter arabischer Herkunft, die im 2020 im Duden-Verlag erschienenen Fremdwörterbuch aufgezeichnet sind. Die Arabismen im Deutschen lassen sich nach drei Kategorisierungskriterien unterschiedlich klassifizieren: Entlehnungsweg, Entlehnungszeitraum und semantischen Sachgruppen. Der Fokus dieser Arbeit liegt jedoch auf der Kategorisierung von den Arabismen im Deutschen. Sie werden je nach dem Entlehnungsweg in 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und in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unterteilt. Unter direkter Entlehnung ins Deutsche versteht man den Fall, wo ein arabisches Wort ohne Umweg über eine Vermittlungssprache direkt ins lexikalische System des Deutschen entlehnt wird. Unter indirekter Entlehnung ins Deutsche wird dagegen der Fall verstanden, wo ein arabisches Wort über eine oder mehrere Vermittlungssprachen ins deutsche Lexikonsystem übernommen und entlehnt wird. In der Gegenwart hat die Zahl von Arabismen durch 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tendenziell zugenommen. Die Arabismen durch direkte Entlehung ins Deutsche drücken meistens die arabischen Kultur-Spezialitäten aus. In den meisten Fällen wurden die Arabismen durch indirekte Entlehnung ins Deutsche aus dem Arabischen über eine oder mehrere Vermittlungssprachen wie Französisch, Latein, Italienisch, Spanisch, Türkisch, Portugiesisch, Englisch und Niederländisch etc. in das deutsche lexikalische System übernomme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랍-이슬람 문화권과 유럽-그리스도교 문화권의 접촉
Ⅲ. 독일어의 아랍어 차용어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