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매업 운영 성과 분석의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analysis of operational performance in retail industrie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곽진경(Jin Kyung Kwak)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3권 제2호, 145~15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영학 연구의 대부분은 기업의 성과 개선을 추구한다. 따라서 객관적이고 적절한 성과 척도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운영관리 분야에서 사용하는 성과 척도는 네 가지 우선순위 역량인 비용, 품질, 운송, 유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인데 각 연구마다 개별적으로 성과 척도가 정의되고 측정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운영 성과 척도는 설문조사에 의존하거나, 통일되지 않은 제각각의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객관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설문에 응답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있는 이러한 조사 방법 대신 객관적인 수치로 운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면 기업 간의 비교 분석에 타당성을 부여해줄 것이다. 재무제표의 항목은 모든 기업에서 동일하므로 객관적이고 투명한 지표로 적합하다고 하겠다. 이에 Gaur 등 (2005)은 소매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재무제표로부터 얻은 자료들을 변수로 하여 회귀모형을 수립하고, 계량경제 분석을 통해 운영 성과 척도로서 조정된 재고회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Gaur 등 (2005)의 모형이 국내 소매업에도 적용되어 그들이 제시한 조정된 재고회전율을 운영 성과 측정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적합한 성과 지표는 무엇인지, 국가별 차이는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였다. 국내 소매업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KOCOinfo의 기업정보 TS (Total Solution) 2000에서 국내 소매 기업들의 최근 5년간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재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소매기업의 재고회전율은 매출총이익과 음의 상관관계, 자본집약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예상 외 매출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 소매업에 대하여 매출총이익이 클수록 재고회전율은 낮고, 자본집약도가 클수록 재고회전율이 크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국내 소매기업의 자료를 이용한 결과, COMPUSTAT자료를 이용한 Gaur 등 (2005)과 달리, 예상 외 매출과 재고회전율은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지 않았다. 국내 소매업에서는 매출 예측치가 재고수준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예상 외 매출 변수를 제외한 회귀모델이 더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며 매출총이익과 자본집약도의 영향력은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Gaur 등 (2005)의 COMPUSTAT 자료와 국내 소매업의 TS2000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을 뿐 아니라 재무관리와 생산관리의 학제적 융합이라는 측면에서도 학문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Most management studies pursue improv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As a result, searching for an appropriate performance measure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raditionally, operations management area has used the four competitive priorities (cost, quality, delivery, and flexibility) as a performance measure and defined the measures for each study. As these measures might be obtained by surveys and used differently by studies, we need an objective measure to evaluat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especially for comparative study. In that matter, financial statements can provide objective figures. Gaur et al. (2005) developed a regression model with variables which can be obtained from financial statements and analyzed the data in retail industri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ir model applies to Korean retail industry and searches for an appropriate measure of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cent 5 years’ (2011-2015) financial data for retail industry are collected via TS (Total Solution) 2000 from the KOCO info platform. As a regression result, the inventory turnover ratio of Korean retail businesses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gross marg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pital intensity, and no correlation with the sales surprise. It is guessed that forecasting sales may not affect inventory decision in Korean retail industry significantly. The regression model without an explanatory variable, sales surprise, turns out to fit better to the data. The coefficien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are larger than those of Gaur et al. (2005). This study aims for a comparative study by comparing the two studies, one with COMPUSTAT data and the other with TS2000 data. In addition, this study pursues interface between finance and operations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모형
Ⅲ. 국내 소매업의 실증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진경(Jin Kyung Kwak). (2016).소매업 운영 성과 분석의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13 (2), 145-153

MLA

곽진경(Jin Kyung Kwak). "소매업 운영 성과 분석의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13.2(2016): 145-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