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Wage on Job Turnover of Social Worker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이동하(Dongha Lee) 우석진(Seokjin Woo) 강현아(Hyun-Ah Kang) 정익중(Ick-Choong Chung) 노충래(Choong Rai Nho) 전종설(JongSerl Chun)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3권 제2호, 87~10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과 임금에 대한 기존연구에서 이직의도를 이직의 대리변수로 사용할 뿐 이직기간 자체를 분석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임금과 이직사건 발생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실증자료를 통해 규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사회복지사의 이직 결정이 반영된 재직기간을 관측하고 있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09)를 실증분석에서 활용하였다. 사회복지시설 취업을 경험한 사회복지사 276명을 연구대상으로 보고, 시간당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위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졸업 후 사회복지시설에 처음 취업하여 이직까지의 재직기간의 평균을 우측절단자료임을 고려하여 추정하였고 Kaplan-Meier모형으로 시간에 따른 생존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의 이직 현황을 정리하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재직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Cox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임금 외에도 Cox모형에 통제변수로는 사회복지사의 연령, 학력, 고용형태, 혼인여부, 성별, 주전공, 근무 사회복지시설의 규모를 나타내는 근로자수, 지역고정효과를 포함하였다. 추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의 재직기간 평균을 우측절단 표본을 고려하여 추정한 결과, 약 33.42개월이었다. Kaplan-Meier모형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생존율을 추정한 결과, 재직한 지 3년째 되는 해에 75% 수준으로 떨어지고, 입직 후 4번째 해 이후에는 생존율이 10%이하로 가파르게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사회복지사의 이직결정 패턴은 사회복사가 정규직인 경우 좀 더 오래 근무하기는 하였지만 비정규직인 경우와 큰 차이는 없었다. 4년제 대학을 졸업자의 경우 2년제 대학 졸업자보다 좀 더 이직률이 높았다. 임금이 이직 위험률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Cox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기저 위험률이 지속기간과 무관하게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서, 사회복지사의 이직 위험률의 시간당 임금탄력성은 -0.712이었다. 임금이 높아질수록 사회복지사의 이직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고 이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기저위험률이 상수일 때, 평균 지속기간은 위험률의 역수가 된다. 따라서 평균 재직기간에 미치는 재직기간의 임금탄력성은 0.712가 된다. 임금이 10% 오를 때, 재직기간은 7.1% 정도 증가하게 된다. 임금을 제외하면 다른 통제변수들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기저위험률이 Weibull 분포를 따르는 경우에도 임금이 위험률에 미치는 효과는 -0.622로 다른 모형과 유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stimates the impact of wages of social workers on their turnover decisions. This paper improves on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at we focus on the turnover decisions directly rather than the intention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09, we analyze how long the 276 social workers who grauate from at least 2 year college or more remain in the first jobs. First, we estimate the Kaplan-Meier survivor function for the duration during which the social workers work in their first job, considering that the observed duration might be right-censored. In regression analysis, we estimate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as a function of the logarithm of wage, age, years of schooling,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social work major, number of workers in the facility, and region fixed effects. The average duration of the college-graduate social workers until the first job turnover is around 33.42 months after considering the likelihood of right-cernsoring. The non-parametrically estimated Kaplan-Meier survivor function reveals that the survival rate tends to drop to 0.75 at around three years and plummet down to 0.1 after four year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wage affects the turnover decision of the social workers, we estimate the Cox propotional hazard model with constant baseline hazard rate.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wage elasticity of the hazard rate of the job turnover is around -0.712 and it is s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as the wage increases, the social workers tend to stay longer in the first job. More specifically, the wage elasticity of the job duration is exactly 0.712. 10 percent increase of wage leads to longer job duration by 7.12 percent on average. The magnitude of elasticity is inelastic and smaller than the of child-care teachers. Except the wage, other factors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기초분석
Ⅳ. 사회복지사의 이직의 임금효과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하(Dongha Lee),우석진(Seokjin Woo),강현아(Hyun-Ah Kang),정익중(Ick-Choong Chung),노충래(Choong Rai Nho),전종설(JongSerl Chun). (2016).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효과. 유라시아연구, 13 (2), 87-102

MLA

이동하(Dongha Lee),우석진(Seokjin Woo),강현아(Hyun-Ah Kang),정익중(Ick-Choong Chung),노충래(Choong Rai Nho),전종설(JongSerl Chun). "임금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에 미치는 효과." 유라시아연구, 13.2(2016): 87-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