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Tasks Based on Wooldridge’s Historical-Philosophical Discussion of “Meritocracy” and Its Critical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조나영(Na-Young Cho)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8권 제3호, 81~1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능력주의(meritocracy)’는 공정함의 척도인가, 불평등의 함정인가? 능력주의 사회에서 교육을 통한 ‘자기실현’은 협력적인가, 경쟁적인가? 능력주의를 둘러싼 논쟁은 이렇게 양분되는 양상을 띤다. 능력주의의 불가피성에 근거한 옹호든, 그 자체에 대한 비판이든, 그 입장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능력주의가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으며, 오늘날 왜 위기를 맞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최근 능력주의에 대한 역사철학적 분석을 시도한 Wooldridge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비능력적 요인에 따라 차별이 이루어졌던 사회에서 능력 중심의 ‘평등한’ 사회로의 이행이 어떻게 가능했으며, 그 양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Wooldridge의 능력주의 분석에 기초해 그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능력주의의 특징적 속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고찰한다. 그간 능력주의는 첫째, 역사적 흐름 속에서 평등을 위한 개혁적 진보와 퇴보를 반복하면서 전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둘째, 능력주의는 학교제도나 교육정책을 통해 그 폐해가 개선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21세기 능력주의와 그 교육적 양상은 (i) 경쟁과 독식 체제로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며, (ii) 분배(공정성) 논리를 강조해 진정한 자기 비판을 저해하며, (iii) 사람들을 공동체의 문제에 무감각하고 무책임하게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는 능력주의를 둘러싼 논쟁에서 긴요하게 살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능력주의의 위험성과 가능성에 따른 교육이 각각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s meritocracy a measure of fairness or a trap of inequality? In a meritocratic society, “self-actualization” occurs through cooperative or competitive education. Debates surrounding meritocracy are often framed in this manner. Whether one supports or criticizes meritocracy is crucial in understanding its formation, development, and crises. Wooldridge’s recent historical-philosophical analysis of meritocracy traces how societies moved from non-merit-based discrimination to “equal” societies centered on abilit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nd how these patterns unfolde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Wooldridge’s analysis of the meritocracy, identifies its distinctive attributes, and explore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Meritocracy has evolved through both reformative advances and regressions toward equality. Throughout this process, it promotes the belief that its drawbacks could be mitigated through school systems or educational policies. However, in the 21st century,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spects of meritocracy have been observed as follows: (i) deepening educational inequality through competition and monopoly, (ii) hindering genuine self-criticism by emphasizing distributive fairness, and (iii) leading individuals to become indifferent and irresponsible toward communal issues. By examining these findings, we can identify crucial aspects of the meritocracy debate, enabling us to understand what education entails in light of the dangers and possibilities of meritocracy.
목차
Ⅰ. 서론
Ⅱ. ‘능력주의’의 형성 배경과 발전 과정
Ⅲ. Wooldridge의 ‘능력주의’ 논의에 대한 비판과 교육 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