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SG와 SDGs를 통한 지속가능한 탄소중립도시 평가 - 코펜하겐과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15

영문명
Evaluating Sustainable Carbon-Neutral Cities Through ESG and SDGs: Based on Copenhagen and Jeju Island
발행기관
적정기술학회
저자명
엄영근(Young-Geun Eom) 박병훈(Byeong-Hun Park) 이다연(Da-Yeon Lee) 이주원(Ju-Won Lee) 김인환(In-Hwan Kim)
간행물 정보
『적정기술학회지』Vol.10 No.2, 73~8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50 탄소중립 선언을 시작으로 탄소중립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탄소저감이나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ESG와 SDGs 목표를 연계한 코펜하겐(CPH2025)과 제주특별자치도(CFI2030)의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도시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에 기초하여 ESG를 기술/법 제도/리빙랩으로 재분류하고 평가 척도를 구성하여 CPH2025와 CFI2030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탄소중립 도시의 사례를 통해 장단점을 비교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도시의 방향을 이끌어내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by 2050, interest in carbon-neutral cities has surged, although most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carbon reduction and technologic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linking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goals with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Copenhagen (CPH2025) and Jeju Island (CFI2030). Based on previous research, ESG 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technology, legal systems, and living labs, and an evaluation scale was constructed to compare CPH2025 and CFI2030. This study compar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successful carbon-neutral city cas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sustainable directions for carbon-neutral cities from a new perspective.

목차

서론
선행연구 검토
연구 방법
연구 분석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영근(Young-Geun Eom),박병훈(Byeong-Hun Park),이다연(Da-Yeon Lee),이주원(Ju-Won Lee),김인환(In-Hwan Kim). (2024).ESG와 SDGs를 통한 지속가능한 탄소중립도시 평가 - 코펜하겐과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적정기술학회지, 10 (2), 73-84

MLA

엄영근(Young-Geun Eom),박병훈(Byeong-Hun Park),이다연(Da-Yeon Lee),이주원(Ju-Won Lee),김인환(In-Hwan Kim). "ESG와 SDGs를 통한 지속가능한 탄소중립도시 평가 - 코펜하겐과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적정기술학회지, 10.2(2024): 73-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